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맞대면
면접
대결
직면
조우
대질
면회
뉴스
"
대면
"(으)로 총 590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심각’ 영향으로 R&D 사업 평가일정 연기·비
대면
회의 대체
동아사이언스
l
2020.02.27
먼저 R&D 사업 추진일정상 대다수가 1분기에 선정·단계·최종평가 등 전문가
대면
회의가 집중 예정돼 있는 만큼 연기가 가능한 평가는 일정을 연기하고 선정평가 등 신속한 과제 착수를 위해 필요한 경우 화상회의나 서면회의 등으로 대체하도록 했다. 평가자 섭외가 어려울 경우 피평가자와 ... ...
마스크 대란이라는데… 면마스크·키친타올마스크 써도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2.25
일상생활에서는 굳이 N95를 쓸 필요가 없고, 밀폐된 병실이나 음압실에서 감염자를 직접
대면
해야 하는 의료진이라면 이 마스크를 쓰는 게 좋다고 권고했다. KF94, 의료용마스크 등 써야 하는 이유는 '침방울 차단 효과' 최근 가장 인기 있는 것은 KF94마스크다. 이 마스크는 지름 0.4~0.6μm인 입자를 ... ...
"코로나19 예방 마스크 야외서는 벗고, 실내에선 써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2.13
음압병동에 들어가기 위해 레벨D 방호복을 착용하는 모습. 코로나19 감염자와 직접
대면
하기 때문에 비말을 차단하는 효과가 가장 큰 N95 마스크를 쓴다. 전문가들은 일반인들은 KF80 이상 보건용 마스크나 얇은 수술용 마스크만으로도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대병원 제공 일부 ... ...
'신종 코로나' 백신 개발 성공해도 현장 투입까진 수개월 걸릴 듯
동아사이언스
l
2020.01.31
바이러스를 독성만 약화시킨 채 넣는 방식이 가장 흔히 사용된다. 몸과 병원체를 직접
대면
하게 하는 방식이다. 효율이 좋지만 치사율이 높은 바이러스일 경우에는 오히려 위험하다. 이보다 안전한 방법으로 독성을 아예 없앤 불활성화 바이러스를 넣는 방법도 있다. 국내에서 접종 중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다시 얼어붙으며 벽돌이 달라붙는다. 냉동실에서 막 꺼낸 얼음에 혀끝을 살짝 갖다
대면
혀가 ‘쩍’ 달라붙는 것도 비슷한 현상이다(혀끝의 침이 얼음이 된 결과로 급히 떼려고 하다간 피가 날 수도 있다). 그럼에도 이런 현상을 분자 차원에서 제대로 설명할 수 없었고 직관적으로도 이해하기 ... ...
이물질 검출 홈센서-유연배터리 등…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서 두각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회사로 현재 포스텍에 입주해 있다. 이번에 상을 받은 20g 초소형 측정기에 두 손가락을
대면
스마트폰으로 건강 정보를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폴라리스3D’는 로봇 자율주행 솔루션을, ‘래블업’은 인공지능(AI)을 누구나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을, ‘노드톡스’는 초저전력 통합 센서 기술을 선보일 ... ...
0.5nm 초박막 다이아몬드 제작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새롭게 개발된 초박형 다이아몬드(F-다이아메인)의 구조를 묘사했다. IBS 제공 세상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를 인공적으로 만드는 데 ...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며 “향후 전기적·기계적 특성까지 조절 가능한
대면
적 단결정 다이아몬드 필름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VR용 초고해상도 OLED, 유리 위엔 올릴 수 없다는 ‘고정관념’ 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100% 구현한 기술”이라며 “섀도마스크는 좁은 면적의 OLED를 만드는 데 쓰이나 이 기술은
대면
적을 만드는 데도 쓰일 수 있어 활용범위가 더 넓다”고 말했다. 넓은 면적의 OLED를 만들면 VR에 활용할 때 장점도 있다. 디스플레이 면적이 커지면 VR을 구현하는 데 가장 걸림돌로 지적되는 어지럼증 ... ...
화학약품 부작용 유발하는 분자 ‘카이랄성’ 눈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5
형성하는 200~300나노미터(nm·10억분의 1미터)의 나선 주기를 갖는 나선형 나노 구조체를
대면
적에서 배향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빛을 반사하는 광결정을 제작했다. 연구팀은 제작한 광결정의 분자를 제어하고 응용하기 위해 빛에 의해 분자의 모양 및 배향이 바뀌는 현상인 ... ...
태양전지 효율 이론 한계 뛰어넘을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화합물 중에서 광변환 효율이 좋은 몰리브덴디텔루라이드와 텅스텐디셀레나이드를
대면
적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전자의 움직임을 펨토초(1000조분의 1초) 단위로 분석하는 초고속 분광법을 이용해 순식간에 발생하는 캐리어 증폭 현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했다. 아주 짧게 지속하는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