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삼각형 내각의 합 ≠ 180°?수학동아 l2010년 11호
- ✚삼각형을 이루는 3개의 내각을 모두 합하면 180°가 된다는 사실은 초등학생도 아는 내용이다. 기원전 300년경 그리스 수학자 유클리드가 당시까지의 기하학을 집대성한 이후로 이 내용은 2000년 이상 진리로 받아들여져 왔다.하지만 18세기 초부터 이를 의심하는 수학자들이 등장했고 마침내 삼각형 ...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별에 행성이 있으면 별과 행성은 둘의 질량 중심 주위를 서로 마주보며 공전한다. 태양과 지구도 질량 중심을 마주 보며 공전한다. 다만 질량의 차이 때문에 태양이 움직이는 정도가 너무 작아 눈에 잘 띄지 않을 뿐이다.이렇게 행성의 중력에 의해 별이 움직이면 지구에서 별까지의 거리는 ... ...
- 똑딱이로 찍은 명품 항공사진과학동아 l2010년 11호
- 국내 대학생이 35만 원으로 대기권 항공사진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헬륨풍선, ‘똑딱이’ 디지털카메라로 고도 30km의 대기권 사진을 촬영한 것이다.충남대 기술교육과 김영흥 씨를 비롯한 4명의 학생은 10월 4일 전북 군산에서 기상 관측용 풍선에 디지털카메라를 매단 뒤 헬륨 가스를 넣고 대기 ... ...
- 소행성 충돌 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과학자들이 우주 소행성의 충돌사건에 대한 증거를 처음으로 밝혀 냈다. 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과 혜성 탐사 위성인 로제타의 카메라로 소행성의 궤적을 추적한 결과를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 벨트에는 수많은 소행성이 태양 주위 ... ...
- 수학아, 놀자!수학동아 l2010년 11호
- 지난 10월 13일 서울 미동초 체육관에는 수학을 사랑하는 100명이 넘는 학생들이 모였습니다. 미동초 학생을 중심으로 서울의 은혜초와 진관초, 갈현초, 경기초, 대조초, 불광초, 예일초, 홍은초, 은평초, 홍제초, 금화초, 연천초, 홍연초, 안산초 모두 15개의 학교가 함께 준비한 수학 잔치였습니다.모 ...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오늘 학교에서 배운 유명한 과학자 에디슨과 테슬라에 대해 얘기하다 친구와 말다툼을 하고 말았어.글쎄 앞으로는 선이 없어도 전기를 보낼 수 있다지 뭐야? 말도 안 돼. 어떻게 그런 게 가능해? 다 그 녀석이 지어낸 얘길 거야. 흥.“뭘 그렇게 중얼거리니?”“누…, 누구세요? 어디에서 말하는 거야 ... ...
-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11호
- 운동장에 직선을 그려 보자. 직선은 곡선과 달리 곧게 똑바로 그리면 된다. 이보다 더 긴 직선은 없을까? 고속도로의 차선을 생각해 보자. 얼마나 길고 곧게 뻗은‘직선’인가. 그런데 그 선을 비행기에서 내려다보면 사실은 굽은 선이다. 둥근 지구 위에는 선을 아무리 똑바로 그려도 굽을 수밖에 ...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폭발 같은 지구의 자연재해 앞에서 나약한 존재다. 하지만 인간의 삶을 쥐락펴락하는 지구도 우주의 재해 앞에서는 바람 앞의 등불처럼 위태롭다. 태양의 재채기 하나에도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몇 년 동안 깊은 잠을 자던 태양이 일어나 기지개를 펴고 있다. 흑점이 관측되지 않는 태양활동 ...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과학동아 l2010년 10호
- 게임의 세대교체가 이뤄지고 있다. 손으로 조이스틱이나 패드를 조작하는 게 아니라 온몸으로 게임을 즐기는 시대가 왔다. 몇 년 전 닌텐도가 ‘위’를 출시하며 선보였던 체감형 게임이 본격적으로 우리를 찾아온 것이다. 컨트롤러조차 필요하지 않다는 새로운 세대의 게임은 도대체 어떤 모습일 ... ...
- 별의 죽음을 밝혀 낸 과학자 찬드라세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언제까지나 한결 같은 모습으로 빛날 것만 같은 하늘의 별도 실제로는 사람처럼 태어나서 자라고 노화해 사라진다. 노년기 별이 죽음을 맞이하는 과정을 명확하게 밝힌 사람이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인 1910년 10월 19일에 태어났다. 바로 인도 출신의 천문학자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Subrahmanyan ... ...
이전43743843944044144244344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