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만의 공부법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사례 1 “자신의 꿈을 더 진지하게 돌아보길…” 인천시 S고 3학년 C학생 “우리 아이는 이과생인데 과학동아를 5~6년간 봐왔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하늘의 별을 보고 관찰하는 것을 좋아하고 길을 다니다가 특이한 돌이 있으면 주워오곤 했어요. 교육청 영재학급에서 지구과학을 배웠고요. 앞으로 ... ...
-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생물다양성협약생물다양성협약은 1992년 리우의 지구정상회담에서 150개국 정부가 서명한 협약이다. 생물다양성협약은 생물다양성이 생태계에 관한 것 이상으로 인류의 생존과 건강한 환경에 대한 것임을 인식한 회의다.생물다양성이란 지구상의 생물종의 다양성,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다양 ... ...
- 우주여행, 상상에서 현실로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지난 5월 21일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발사한 로켓에는 최초로 우주범선 기술을 주 추진시스템으로 사용한 우주탐사선 이카로스(IKAROS)가 실렸다. 이카로스는 발사 6개월 뒤에 금성에 도달하고 3년 후엔 태양의 반대편을 탐사하는 임무를 띠고 있다. 이카로스에는 마름모꼴 형태의 태양돛 ... ...
- 헬륨 부족하면 첨단 연구도 STOP! 헬륨 위기가 온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헬륨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은 목소리를 변하게 하는 가스를 떠올린다. 풍선이나 비행선을 생각하기도 한다. 하지만 헬륨이 IT사회에 없어서는 안 되는 광섬유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은 잘 모른다. 광섬유는 2000℃ 이상의 고온으로 달군 뜨거운 유리를 매우 가늘게 당겨서 만든다. 그런데 대 ... ...
- ‘자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이 책에는 ‘가장 효율적으로’ 자급자족하는 방법, 에너지를 활용하는 방법, 물건을 만드는 방법, 치료하는 방법 등이 담겨 있다. 자연이 살아가는 모습과 지혜를 사람의 삶에 적용하는 ‘생체모방’이다. 1997년 저자는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 이 책을 쓰고 생체모방이라는 용어를 창안했다. 그 뒤 ...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지구에서 가장 별이 잘 보이는 곳은 어디일까. 문명의 불빛이 미치지 않는 곳, 칠흑 같은 어둠 속에 오로지 별빛만이 존재하는 곳, 가장 깊은 우주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곳. 그곳을 찾아 7인의 별밤지기들이 천체관측원정대를 꾸렸다. 관측지는 호주 천문학의 수도인 쿠나바라브란(Coonabarabran)이다.우 ... ...
- LED가 만들 형형색색의 미래과학동아 l2010년 09호
- 1990년대 말만 해도 LED는 일반인은 물론 전공자에게도 다소 생소한 분야였다. 학부 때 반도체 관련 수업을 듣고, 손톱보다 작은 첨단 반도체의 신비에 푹 빠졌다. 이를 전공해보고 싶은 마음에 대학원 진학을 결심했다. 서울대 내 반도체 관련 연구실들을 찾아다녔다. 그러던 중 윤의준 교수가 지도하 ... ...
- [지구과학] 편서풍 파동과 서안 강화 현상과학동아 l2010년 09호
- 편서풍 파동 북위 60° 부근의 한대 전선대 상층 대기에는 고위도 방향으로의 강한 기압 경도력에 의해 지균풍이 발생한다. 이 지균풍은 서풍 계열의 바람으로 처럼 북극 상공에서 내려다보면 반시계 방향으로 부는 편서풍이다. 북반구에서 나타나는 편서풍은 어떠한 원인에 의해 남북 방향 ... ...
- 꼬마 천문학자들의 천문대 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두근두근~, 드디어 우리가 손꼽아 기다리던 그 날이 왔어. 무슨 날이냐고? 우주를 보는 ‘거대한 눈’을 만날 수 있는 날! 바로 보현산천문대에 있는 한국 최대 광학망원경과 태양망원경을 만날 수 있는 날 말이야. 이 망원경들은 평소엔 연구에만 쓰이다가 일 년에 다섯 번만 일반인들에게 공개되거 ...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미래에는 사람의 감성을 자극하는, 일명 스마트조명이 대세가 될 겁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머리 옆에 대면 심박이나 체온을 재거나 뇌파를 읽은 뒤, 조명에 정보를 보내는 거죠. 결국 조명은 사람의 기분에 따라 빛의 색깔과 조도를 바꿀 겁니다. 우울할 땐 밝고 따뜻한 색을, 화가 났을 때는 ... ...
이전4404414424434444454464474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