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연계 상위권은 영어·수학 B형과학동아 l2010년 10호
- 2014학년도 수능을 치르는 현 중3부터는 매년 2회의 수능시험을 치른다. 응시과목 수도 지금의 절반으로 줄어든다. 언어, 수리, 외국어영역은 난이도에 따라 A, B형의 수준별 시험을 치른다.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는 8월 19일 대입선진화연구회를 통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능시험 개편안 ... ...
- 달라이 라마, 포도밭을 가꾸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스위스는 '생태관광(ecotour)의 천국'이다. 어디로 눈을 돌려도 녹음 진 숲, 맑은 계곡을 볼 수 있고, 있는 그대로 자연과 융화돼 살고 있는 스위스 사람들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연과 생태를 즐기면서 사람들도 만날 수 있는 '걷기 여행'을 테마로 스위스를 찾았다. 론(Rhone) 강이 시작되는 곰스 계 ...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과학동아 l2010년 10호
- 기원전 18년. 한강 유역에 터를 잡은 백제는 도읍을 웅진(지금의 공주, 475∼538년), 사비(지금의 부여, 538∼660년)로 옮기며 문화를 꽃피웠다. 백제인의 예술적 역량이 함축된 백제금동대향로가 만들어진 사비시대는 세련된 공예가 발달한 백제 문화의 절정기였다.고대문화의 극치를 달리던 백제의 문 ...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과학동아 l2010년 10호
- “고분자를 나노 크기로 만들 거라고? 그건 이제껏 아무도 해낸 사람이 없어. 그래도 하겠다면 잘해봐. 굿럭(Good luck).”진심으로 행운을 빈다는 의미의 ‘굿럭’이 아님을 장정식 교수도 알고 있었다. 장 교수는 1991년 서울대 화학생명공학부에 부임한 뒤부터 줄곧 신소재 고분자 연구를 해왔다. 물 ... ...
-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우여곡절을 겪으면서도 지각을 하지 않은 지성. 오늘 있을 수학 수업을 하지 않으려고 새로 생긴 능력으로 학교에서 수학을 사라지게 만든다. 수학이 사라진 학교, 어떻게 달라졌을까?주스 대신 사이다를 내놓은 자판기조금 여유가 생기자 지성이는 요정의 말을 떠올린다. ‘하루에 100분 동안 수학 ... ...
- 변화를 분석하는 도구, 미적분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어마어마한 파도가 밀려오는 장면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예전에는 조금씩 다른 수십 장의 그림을 빠르게 돌려 표현했다. 그러나 지금은 파도의 움직임을 방정식으로 만들어 파도 영상을 만든다. 미분을 이용해 움직이는 그림을 편하게 그릴 수 있기 때문이다. 미분의 쓰임 ... ...
- 규칙 찾기의 달인, 함수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동그라미와 세모, 네모, 동그라미, 세모 그리고 다음은? 아마 네모겠죠? 뚜껑을 따자마자 규칙을 찾아 주는 ‘함수’맛 통조림이 나왔습니다. 식과 그래프 소스로 깊은 맛을 더한 신제품 ‘함수’맛 통조림, 지금 바로 따 볼까요?함수는 초등학교 1학년 과정에서 100까지의 수 배열표에서 수의 규칙을 ... ...
- 빅뱅의 비밀수학동아 l2010년 09호
- Prologue_ 1933년 소련의 가모프 박사는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관측하다가 이상한 빛줄기를 발견했습니다. 빛줄기를 해독하자 거기에는 빅뱅의 비밀과 지구인에게 보내는 메시지가 들어 있었습니다. 우주의 암흑군주가 보낸 악마가 히틀러의 몸 속으로 들어가 지구를 위험에 빠뜨린다는 내용이었지요 ...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전 세계 해양생물종을 한 눈에 파악하는 종합 보고서가 처음으로 나왔다. 국제 해양연구기관인 해양생물 센서스(Census of Marine Life)는 2000년부터 지난 10년간 전 세계 바다 25곳을 조사해 만든 해양생물 보고서를 8월 2일,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 학술지인 ‘플로스 원’에 발표했다.해양생물 센서 ...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오늘날 지구에 사는 사람 중 절반 가량이 도시에 살고 있다. 사회학자들은 2030년이 되면 도시에 사는 사람의 비중이 50억 명에 육박해 세계 인구의 3분의 2 를 차지할 거라고 예상한다. 메소포타미아에 처음으로 도시가 생긴 이후 19세기 초까지만 해도 도시에 사는 사람은 인류의 10%에 불과했다. 전문 ... ...
이전4394404414424434444454464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