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세먼지, 신체활동 통한 건강증진 효과도 저하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2
수준과 신체활동에 따른 건강증진 효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했다. 분석 결과 세제곱
미터
(m3)당 54μg 이하의 초미세먼지(PM2.5)에 노출되면서 정기적으로 걸어서 통근하는 사람들은 허혈성 심장병과 뇌혈관 질환의 위험이 감소됐다. 하지만 54μg 기준치를 초과한 환경에서 통근하는 사람들은 걷는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8) 위성 실리는 공간 내부 초미세먼지도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이동형 온도제어 유닛(MTU)’ 개발에 참여했다. MTU는 132제곱
미터
(㎡·40평) 아파트 10개호에 냉난방이 가능한 유량을 가진 공조장치다. 누리호를 발사대까지 이송시키는 장비에 실어 사용한다. 장 대표는 “나로호 발사 때는 해외 업체 제품을 사용했다”며 “설계 도면이 없는 상태에서 ... ...
베일 벗는 '손끝의 암호' 지문...'나노' 인공 지문까지 나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4.08
인공 지문을 만드는 ‘나노패터닝’ 기술을 발표했습니다. 나노
미터
(nm)는 10억분의 1
미터
를 뜻하는 단위입니다. 이렇게 작은 나노 단위에서 복잡한 무늬를 만드는 작업을 나노패터닝이라고 해요. 나노패터닝 기술은 나노 물질의 미세한 성질을 조절할 수 있어 반도체 등을 만드는 데도 쓰이고 ... ...
[프리미엄 리포트] 풍선에 매달린 기상관측·우주과학
2023.04.08
폴리에틸렌 필름 제작 기술은 각국의 기밀로 부쳐진다. 폴리에틸렌을 20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보다 얇은 두께로, 찢어지지 않게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과거 국내 고고도 과학기구 연구를 주도한 적 있는 이관중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고어라고 부르는 필름 조각을 열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초미세먼지가 폐암을 일으키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4.08
네이처는 이번 주 표지로 초미세먼지로 뒤덮인 거리를 실었다. 지름이 2.5㎛(마이크로
미터
‧100만분의 1m) 이하인 초미세먼지(PM2.5)는 마치 황색의 안개가 낀 것처럼 시야를 흐리게 만들고 있다. 도시의 경관을 해치는 초미세먼지는 사람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사람의 체내로 유입돼 심각한 ... ...
초미세먼지가 폐암 일으키는 원리 규명..."때론 흡연보다 심각"
동아사이언스
l
2023.04.07
결과다. 찰스 스완턴 영국 프란시스크릭연구소 연구원 연구팀은 지름이 2.5㎛(마이크로
미터
‧100만분의 1m) 이하인 초미세먼지(PM2.5)가 폐암을 유발하는 원리를 찾아내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학계에 따르면 전세계에서 대기오염이 유발한 질병으로 매년 2 ... ...
그린수소 생산 효율 3배...에기연, 수전해 기술 GS건설에 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23.04.04
낮다. 폭발을 유발하는 수소와 산소 혼합도 쉽게 억제하지 못한다. 연구팀은 40㎚(나노
미터
·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미세 나노 기공으로 구성된 다공성 구조 분리막을 구현했다. 연구팀은 “미세 나노 기공 주변에 친수성 세라믹 입자들을 조밀하고 균일하게 분포시켰다”며 “굴곡률을 높여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초고성능 나노여과막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04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2㎚(나노
미터
·1㎚는 10억분의 1m) 이하 작은 기공을 갖는 제올라이트 내부에 탄소를 채워 넣은 후 제올라이트만을 선택적으로 녹여냄으로써 판 형태의 2차원 탄소 물질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 극도로 균일한 크기의 ... ...
곤충 표면 본따 혈전 예방하는 인공 혈관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팀은 반도체 등 미세구조 제작에 활용되는 수십 나노
미터
크기 입자를 이용한 제작법과 기존 마이크로 크기 제작에 널리 쓰이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융합해 유연한 고분자 재료로 톡토기 피부 표면 구조를 모방하는 데 성공했다. 모방한 피부 표면은 휘어진 ... ...
DNA·단백질·효소 3D프린터로 찍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29
nm는 10억분의 1m) 수준의 패턴까지 프린팅 할 수 있어야 한다. 현 기술론 100~300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 수준까지 달성했다. 오 교수는 “3D 프린터의 모터 기술력만 조금 높이면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인공세포를 3D 프린터를 만들어 낼 날이 머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