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강주헌 UNIST 교수팀 혈액정화 치료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nN)의 아주 약한 힘이면 충분하다. 연구팀은 이 힘으로 분극 전환 영역의 너비를 10나노
미터
보다 작게 만드는 데 성공해 데이터 저장 용량을 획기적으로 높일 가능성을 찾았다. 영역의 크기를 작게 할수록 하나의 물질에 더 많은 데이터를 담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박막 위에 탐침으로 데이터 저장 ... ...
망막 두께로 치매 위험 예측한다...신경섬유층 얇으면 5배↑
동아사이언스
l
2022.09.26
결과 여러 망막층 중 황반부의 신경섬유층의 두께가 대상자 중 하위 25%인 231μm(마이크로
미터
, 100만분의 1
미터
)에 해당하는 경우 치매 발생확률이 나머지 75%에 비해 약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속얼기층’ 등 다른 망막층은 미래 인지기능 저하와 뚜렷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 ...
몸속 깊은 곳 암조직 들여다보는 현미경 기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9.19
영상으로 제공해주는 공초점 형광 현미경이 생체 내부에서 광 산란에 의해 100마이크로
미터
를 넘는 깊이세어 광 초점이 흐려지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연구팀은 초음파를 이용해 생체조직 내부에 공기방울들이 촘촘히 채워져 있는 공기방울층을 원하는 영역에 생성할 수 있는 기술과 ... ...
피부에 붙여 종양 크기 변화 측정하는 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8
수 있도록 이식 가능한 장치를 개발하고 싶다"고 말했다. 종양의 크기를 마이크로
미터
수준까지 감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 'FAST'의 모습. 스탠퍼드대 제공 ... ...
몸통만 4m 대왕오징어 사체 뉴질랜드 해변서 발견
연합뉴스
l
2022.09.14
다가가자 다리가 보여 대왕오징어임을 알게 됐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그는 수백
미터
깊은 바다에 사는 생명체를 보는 것은 평생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기회인 만큼 관광객들도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며 다리를 포함하지 않은 몸통 길이만 4m 정도 되는 것 같았다고 했다. 그는 "다리 끝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을 태풍은 정말 더 잦고 강력해졌을까
2022.09.14
북위 5도에서 20도 사이의 북태평양 해역에서 발생하는 일상적인 자연 현상이다. 초속 17
미터
이상의 강한 바람과 많은 비를 동반하는 강력한 열대 저압부(TD, tropical depression)를 태풍이라고 부른다. 적도 지방에 쏟아진 태양 복사열이 원활하게 분산되지 못하고 특정 수역에 갇혀버리면서 발생하는 ... ...
고용량 배터리 실리콘 음극재, 추우면 잘 깨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2
‘액체 캡슐’을 개발했다. 이 캡슐은 질화 실리콘 막의 원하는 위치에 수백 나노
미터
크기로 구멍을 일정하게 뚫은 뒤 단결정 그래핀을 합성해 코팅한 것이다. 2개의 막 사이에 액체를 두고 겹치면 액체가 구멍을 덮은 그래핀 두 막을 위아래로 부풀리면서 그래핀 사이에 가둬진다. 이렇게 ... ...
나노 크기 초미세 고성능 반도체 소자 합성에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9.05
했다. 가장자리 부위에만 접합되다 보니 접합면이 원자 3개의 크기인 0.7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정도로 얇았고 합성 과정에서 결함도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접합면이 얇아 금속과 반도체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장벽이 작았고 전자도 원활히 이동했다. 권 교수는 "금속과 반도체를 ... ...
박테리아보다 작은 생체 구조 3D 이미지 얻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02
불가능한 현미경급의 고해상도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다. 물체 간 거리가 850nm(나노
미터
, 10억분의 1
미터
) 정도 떨어져있는 것도 구분할 수 있을 정도다. 박테리아 크기가 1000nm(1μm) 정도다. 측정한 홀로그래피 정보를 보정해 다중 깊이의 3D 이미지도 복원할 수 있는데 물체 간 깊이가 14μm정도 떨어져 ... ...
제임스웹, 이번엔 외계행성 대기서 이산화탄소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8.26
별 앞을 지나갈 때 발생하는 파장 3.0~5.5마이크로
미터
를 분석한 결과 4.1~4.6마이크로
미터
파장 영역에서 이산화탄소의 증거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기존 망원경은 이 파장대 관측 영역에서 이산화탄소 특성을 보이는 증거를 포착하지 못했다”며 “이산화탄소뿐 아니라 물이나 메탄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