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3건 검색되었습니다.
8조원짜리 초대형 요트 프로젝트
팝뉴스
l
2022.11.23
제공 이탈리아의 한 요트 디자인 회사가 제안한 초대형 요트의 모습이다. 길이 550
미터
너비 610
미터
가 될 것이라고 하며 수용 승객은 6만명에 이른다. 요트의 이름은 판게오스이다. 수백만전년에 존재했던 슈퍼대륙 판게아의 이름에서 따왔다. 60억달러 즉 8조원 정도의 재원이 마련되면 제작에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
2022.11.22
정확한 관측기구 사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믿었다. 그는 직접 제작한 지름 12
미터
짜리 육분의를 이용하여 별의 위치를 아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었다. 초신성과 혜성을 관찰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긴 티코 브라헤는 자신의 관측기록을 케플러에게 전해 주었다. 케플러가 행성이 태양을 ... ...
강한 빛에 적응하는 눈 모사한 인공안구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14
신호를 보낸다”고 설명했다. 광 시냅스 소자에 양자점도 적용했다. 양자점은 수 nm(나노
미터
·10억분의 1m) 크기의 초미세 반도체 입자로 크기에 따라 전기적 광학적 성질이 바뀐다. 빛의 흡수 특성도 제어가 가능하다. 홍채 역할은 전기 변색 소자가 맡는다. 자외선 농도나 빛의 자극에 의해 색상이 ... ...
머리카락 두께 500만분의 1 크기 기체분자 분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3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머리카락 두께 500만분의 1에 해당하는 0.02nm(나노
미터
·10억분의 1m) 크기의 기체 분자를 분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석유화학공정에 적용돼 에너지 소모량과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은 이종석 서강대 화공생명공학과 ... ...
[프리미엄 리포트] 지하 1000m 실험실에서 우주기원 밝힐 '유령' 찾는다
과학동아
l
2022.11.12
지상연구실에서 만난 연구원들의 표정이 한껏 들떠 있었다. “실험 공간은 전체 3000평방
미터
(m2)입니다. 면적으로 보면 세계에서 6번째로 넓은 지하실험시설이죠. 독립적인 실험을 할 수 있는 구역이 13개 마련돼 있어 활용 공간 면으로는 어느 지하실험시설에도 뒤지지 않습니다.” 예미랩의 운영과 ... ...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 '페로브스카이트' 상용화, 한국이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1
이태우 교수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결정을 벤젠성 산성액으로 둘러싼 수십 나노
미터
크기의 나노입자를 합성했다. 이렇게 합성한 페로브스카이트 결정은 박막 상태에서 전하 이동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발광 효율이 대폭 개선됐다. 이태우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발광 소자의 ... ...
군복에 스프레이처럼 뿌려 화학무기 독성 차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0
수 있으면서도 성능을 유지하는 제독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기존에 개발한 나노
미터
수준의 지르코늄(Zr) 기반 제독촉매의 높은 반응성은 유지하면서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고분자형 지지체를 새롭게 개발했다. 이를 군복과 군용장비의 스프레이 공정에 적용하면 제독 코팅층을 ... ...
수염고래, 매일 미세플라스틱 43kg 먹어..."사람도 섭취한다는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섭취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미세 플라스틱은 통상 직경이 1μm(마이크로
미터
·100만분의 1m)~5mm 크기의 플라스틱을 일컫는다. 마모되거나 태양광 분해 등으로 잘게 부서지며 생성된다. 낚시줄이나 스티로폼 부표, 페트병, 섬유 등에서 모두 만들어진다. 얼굴에 발라 문지르다가 물로 ... ...
바늘보다 얇게, 머리카락만큼 가늘게…초미세 내시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IBS) 분자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부연구단장 연구팀은 앞서 지난 9월 350μm(마이크로
미터
=100만분의 1m) 두께의 초미세내시경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발표했다. 주사 바늘(약 500μm)보다도 가는 두께다. 광섬유 다발 중 하나의 광섬유에 빛을 집속시켜 반사하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 ...
“이태원 참사, 압사상황 이후엔 '속수무책'...사전예방 계획이 중요”
동아사이언스
l
2022.10.31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29일 발생한 서울 이태원 압사 참사 때 1 제곱
미터
(m2) 당 최소 8명 최대 10명의 사람들이 몰려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1m2는 평으로 따지면 0.3평이 채 안되는 면적이다. 전문가들은 1m2당 4~5명만 초과돼도 사람들의 혼란이 발생하고, 8~10명 정도가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