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7.26
클러스터의 구조를 공간 채움 모형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반도체 클러스터는 1나노
미터
이하의 작은 구조를 가진다. 오른쪽 이미지는 반도체 클러스터의 구조가 셀레늄(Se) 원자를 중심으로 해 카드뮴 셀레나이드(Cd14Se13)의 케이지로 둘러싸인 모습을 공과 막대 모형으로 표현한 그림이다. 통상적인 ... ...
[프리미엄 리포트]차세대 우주망원경의 과제는 '다이어트'
과학동아
l
2022.07.16
김 책임연구원은 “망원경이 제대로 된 성능을 발휘하려면 표면 거칠기가 2㎚(나노
미터
·1㎚는 10억분의 1m)보다 작아야 한다”며 “연마와 광내기로 해당 수준의 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는지가 망원경 제작에 중요한 기술력”이라고 말했다. 반면 유체는 우주 공간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완전한 ... ...
기후모델 개선 마지막 퍼즐 해저정밀 지도 4분의 1 완성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가로 세로 각각 1km인 해상도로만 해저 지형을 관측할 수 있어 상세함이 떨어진다. 수백
미터
높이의 얕은 해산에 대한 데이터를 얻기 쉽지 않다. 전문가들은 완전한 해저 정밀 지도를 목표로 설정한 2030년까지 얻기 위해서는 접근 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선박이 아예 왕래하지 ... ...
물 속 미세플라스틱 제거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7
입자.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물 속에 존재하는 수 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주혁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과 교수와 조한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마찰대전’ 발전소자로 미세플라스틱을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 허준이 교수 인터뷰 "수학은 ‘자유로움’을 학습하는 일…얽매이지 않고 생각해야"
수학동아
l
2022.07.05
제작하기도 한다. Q. ‘수학을 잘한다’라는 건 뭘까. A. ‘수학을 잘한다’라는 건 100
미터
달리기 기록처럼 정량화할 수 없다. 사람 성격처럼 수학을 하는 스타일도 다양하기 때문에 수학적 재능이 정확히 무엇인지 말하기도 어렵다. 우리 두뇌가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 있고, 각 부분의 뇌세포가 ... ...
100살 대형 물고기 잡혀
팝뉴스
l
2022.07.03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 있는 프레이저 강이다. 잡힌 철갑상어의 길이는 3.5
미터
였고 나이는 100살 정도라고 한다. 물속에는 도대체 어떤 동물들이 살고 있는 것일까. 인간이 모르는 신비한 동물들이 많이 살고 있지 않을까. 해외 네티즌들이 궁금증을 표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삼성전자, 세계 첫 3나노 파운드리 양산…핀펫 넘은 GAA 기술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2.06.30
10억분의 1m)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공정의 초도 양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3나노
미터
공정은 반도체 제조 공정 가운데 가장 앞선 기술로 GAA 신기술까지 적용한 파운드리 서비스는 삼성전자가 유일하다. 최시영 삼성전자 사장(파운드리사업부장)은 “파운드리 업계 최초로 하이케이 메탈 ... ...
햇빛만 쬐면 자동차 표면 흠집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8
보호용 코팅 소재와 내구성 등 성능이 동일하면서도 태양광에 포함된 1000~ 1100나노
미터
(nm 10억분의 1m) 파장대의 빛으로 자가치유되는 투명한 코팅 소재를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보호용 코팅 소재는 제품 본래의 색이 드러날 수 있도록 무색투명해야 하고, 고가 제품의 표면을 보호해야 하므로 ... ...
'맨눈에도 보인다' 거대 박테리아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따르면 박테리아가 이처럼 클 수 없기 때문이다. 대다수 박테리아는 길이가 2㎛(마이크로
미터
, 100만분의 1
미터
)에 불과하다. 기존에 알려진 거대 박테리아 크기도 750㎛에 그쳤다. 연구에 참여한 장 마리 볼랜드 미국 로렌스바클리국립연구소(LBNL) 연구원은 “마치 사람이 에베레스트산 만큼 큰 다른 ... ...
지구온난화에 등산객 몰리면서 위험해진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200~400m 아래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6.19
가까운 부분이 연간 1m의 비율로 얇아지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연간 950만 입방
미터
의 물을 잃는 것과 맞먹는 양이다. 빙하의 대부분은 암석 파편으로 덮여 있지만 얼음 절벽이라고 불리는 노출된 얼음 지대가 있다. 연구자들은 빙하를 가장 불안정하게 만드는 것은 얼음 절벽이 녹는 것이라고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