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 기술로 배를 띄워라!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무거운 것 같았어. 물 밖으로 나가서 물어보고 싶지만 그럴 수도 없고…. 옳지! 인간들
사이
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과학잡지인 ‘어린이과학동아’의 명예기자들에게 알아봐 달라고 해 보자. 바다를 누비는 배의 비밀은?친구들 안녕? 돌고래의 이야기를 들은 우리는 배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 주기 위해 ... ...
Part 4. 미국 수학의 달은 4월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이런 행사는 없나 봐요?“무릎팍 도사님도. 미국에서 하는 행사는 아니지만 5세에서 19세
사이
의 학생들은 세계 어디에서든 인터넷만 할 수 있다면 참여할 수 있는 수학의 날 행사가 있어요. 매년 3월 중 지정된 2일 동안 세계수학의 날 홈페이지(www.worldmathsday.com)에 접속해 주어진 100문제를 풀면 ... ...
Part 2. 지구의 전개도가 있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세웠는데, 그 식은 다음과 같다.지구의 둘레 : 두 지역
사이
의 거리 = 360° : 7° 12´.두 지역
사이
의 거리는 지금의 값과 비교하면 오차가 있지만 비례식에 대입해 구한 지구의 둘레는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값(약 4만km)과 비슷하다.‘지구의 전개도?’ 순간 먹고 있던 귤을 바라봤다. 예쁘게 꽃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미국 태평양지진해일경보센터(PTWC)는 3분만인 2시 49분에 일본 동해안과 타이완,
사이
판, 알래스카 등 태평양 인접 해안에 지진해일 주의보 또는 경보를 발령했다. 그러나 일본 주민들은 미처 대피할 새도 없었다. 경보 발생 30분 만에 이시노마키시 아유카와 해안에서 지진해일 파고가 관측됐다. 3시 2 ... ...
상어도 목욕탕에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다른 종의 동물이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이익을 주고받는 상리공생 관계다. 둘
사이
의 공생 관계는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특정한 장소에서 주기적으로 이뤄진다는 사실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연구에 참여한 존튜너 뱅거대 해양생물학 교수는 “현재 필리핀 세부의 상어 목욕탕은 ... ...
젊은 여성 위협하는 3대 질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반면, 우리나라는 1999년부터 2007년까지 연간 25.6%씩(남자 24.5%, 여자 26%) 증가해, 최근 10년
사이
630%나 늘었다. 남녀 비율로 따지면 여성이 남성보다 약 6배 더 높다. 20~30대의 젊은 환자는 전체 환자의 약 30%로 최근 증가 추세가 두드러진다. 워낙 흔한 암이라 인구의 50% 정도는 갑상샘에 혹을 가지고 .. ...
6층 아파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누가 살고 있는지 순서대로 아이들을 찾아보세요.(3층이 떨어져 있다는 말은 두 집
사이
에 다른 층이 2개 더 있다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1층에서 3층 떨어져 있는 층은 4층입니다.) ① 태경이와 민수는 2층 이상 떨어져 있습니다. ② 민수와 만득이는 가장 아래층과 가장 위층에는 살지 않습니다. ③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있었지만 디젤발전기가 쓰나미에 휩쓸려가면서 무용지물이 됐다.이를 두고 전문가
사이
에서는 초기에 우왕좌왕하며 이번 사고를 중대사고로 키웠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석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기획부장은 “일본도 ‘중대사고절차’를 잘 갖추고 있었지만 초기대응에는 아쉬움이 ... ...
내 별은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7월 7일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의 모론다바에서 촬영했다. 커다란 바오밥 나무
사이
로 별이 일주운동을 하고 있다. 어린왕자가 나타날 것만 같다.] [일반 금상 | 강문기 ‘Veil Nebula (NGC 6992/6995/6960)’지난해 10월 9일 강원 홍천군에서 촬영한 면사포성운(Veil Nebula)의 모습이다. 우주에 사는 거대한 ... ...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 남파리대 스태니슬라스 데에네 박사팀은 지난해 12월3일자 ‘
사이
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글을 해독하는 회로가 기존의 시각과 청각 회로를 이용해 형성되면서 시각과 청각 기능을 변화시킨다는 결과를 소개했다.연구팀은 다양한 시각자극을 준 뒤 글을 읽을 수 있는 ... ...
이전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