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생각하기] 구름 모양을 알면 높이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어느 게 더 높이 떠 있나멀리서 비행기 소리가 들린다. 하늘 저편에 있는 양털 같은 구름
사이
로 한 점처럼 비행기가 지나간다. 어떤 날엔 비행기 소리만 들릴 뿐 비행기가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비행기가 구름 너머 어딘가를 날고 있다는 뜻이다. 비행기는 언제나 일정한 높이로 날지만 구름의 ... ...
Part 3.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 여성 수학자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했다. 세계 수학자들의 가장 큰 축제인 국제수학자대회에서 강연을 하는 것은 수학자
사이
에서도 매우 영광스런 일이다. 2010년 오 교수는 *아폴로니안 개스킷에 관한 내용을 강연했다.*아폴로니안 개스킷: 커다란 원 안에 접하도록 작은 원을 반복적으로 채워 넣은 그림을 말한다. 김주리 교수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걸까? 여긴 대체 어딜까? 부시게 쏟아지는 빛에 지오는 눈을떴다.“지오야! 지오야!”빛
사이
로 낯익은 소리가 들려오고 있었다.“누나?”지오는 손등으로 제 눈을 두어 번 세차게 비볐다. 빛 속으로 누나의 모습이 보이는 듯했다.‘성공이야! 과거로 온 거야! 누나가 나를 부르고 있어. 누나가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배웠잖아요. 어쩌면 우리가 서로 결혼하는 일도 가능할지도 모르겠어요.이제 우리
사이
가 아주 가까워졌습니다.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2만 4000년 전 이베리아 반도 서쪽 끝에 살던 우리가 바로 역사 속 마지막 네안데르탈인이라는 걸. 우리의 시대는 끝났고 호모 사피엔스의 시대가 열린다는 걸. ... ...
의약품에 숨은 화학 원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프로스타글란딘은 손상된 조직에 염증을 만들고, 붓기를 일으키기도 한다. 아스피린은
사이
클로옥시지나제라는 효소에 붙어서 프로스타글란딘을 더이상 만들지 못하게 한다. 뇌는 더 이상 고통을 느끼지 못하고, 붓기도 가라앉는다. 아스피린과 함께 진통제로 많이 이용하는 약은 타이레놀이다.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그런데 왜 구제역바이러스는 우제류만 감염시키고 사람은 물론 우제류와 비교적 가까운
사이
인 기제류(말처럼 발굽이 갈라지지 않은 동물)조차 감염시키지 못할까.인테그린은 세포가 주변의 다른 세포나 조직에 달라붙을 때 관여하는 분자로 종에 따라 구조가 조금씩 다르다. 박 연구관은 “구제역 ... ...
초신성 이용한 암흑에너지 측정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물질을 받다가 일정한 질량을 넘어 폭발하면서 생긴다. 밝기가 일정하기 때문에 은하
사이
의 거리를 측정하는 지표가 된다.거리가 멀수록 겉보기 밝기가 어두워지는 점을 이용하면 초신성이 속한 은하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이 거리를 측정해 우주가 팽창하는 정도를 알아내는 것이다.지금까지 ... ...
새들이 군무를 추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함께 날아가는 원리를 표현한 것이다(그림 2).마지막으로 가장 먼 곳에 있는 개체들
사이
에는 근처에 있는 이웃과 서로 가까워지려는 인력이 작용한다. 이 성질은 멀리 떨어진 두 무리들이 서로 합쳐져 더 큰 무리를 이루도록 한다. 작은 무리가 커져서 철새나 메뚜기 떼와 같이 규모가 큰 무리가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않은 과일이나 채소도 깨끗이 씻을 수 있다. 오존수로 매실을 세척하면 표면에 난 잔털
사이
의 미생물을 10% 정도만 씻을 수 있지만 마이크로 버블은 98%의 세균을 죽일 수 있다. ◀대구경북능금농협의 세척사과 브랜드 ‘껍질째 먹는 안심사과’. 오존수로 세척한 후 개별포장해 판매한다.마이크로 ... ...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효과를 내는 관측망을 만든 것이다. 478km는 연세대에서 탐라대까지의 거리다. 전파망원경
사이
의 거리가 멀수록 관측망의 지름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망원경의 성능과 직결되는 분해능(두 천체를 분리해 볼 수 있는 능력)은 관측망의 지름이 클수록 크기 때문에 가능한 전파망원경을 서로 멀리 ... ...
이전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