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효과를 내는 관측망을 만든 것이다. 478km는 연세대에서 탐라대까지의 거리다. 전파망원경
사이
의 거리가 멀수록 관측망의 지름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망원경의 성능과 직결되는 분해능(두 천체를 분리해 볼 수 있는 능력)은 관측망의 지름이 클수록 크기 때문에 가능한 전파망원경을 서로 멀리 ... ...
알파벳에 숫자 넣기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B=1, E=5가 됩니다. 이달의 퍼즐 다음 수식을 만족하는 숫자들을 찾아보세요. 각 기호는 0~9
사이
의 자연수이며, 같은 기호는 같은 숫자를 의미하며, 다른 기호는 같은 숫자가 될 수 없습니다 ... ...
수학 논문으로 꿈을 이룬다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그런데 중학생이라니 낯설게 느껴진다. 대학생도 쓰기 어려운 논문을 성계 군은 2년
사이
2편이나 썼다. 그에게 논문은 쉬운 일일까.그가 웃으며 말했다.“쉬울 리가 있나요. 교수님들 도움이 컸죠. 1년 넘게 방학때마다, 그리고 시간 날 때마다 논문을 큰 숙제로 떠안고 교수님들과 함께 고생했어요. ... ...
아름다운 무지개다리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번 일어날 때 무지개의 색깔 배열이나 각은 달라진다. 관찰자가 태양과 물방울이 있는 곳
사이
에 있다면 무지개는 물방울 지역을 통과하는 원뿔 모양으로 보인다. 아하! 생각이 쑥쑥!무지개를 사랑한 선조 무지개의 아름다움에 대한 동경을 나타내듯 우리나라의 전통 건축물에는 반원 모양의 ... ...
'점'과 '꼭짓점'은 무엇인가?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5cm라고 하면, 점이 5만 개쯤 있을까요? 성능이 좋은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점과 점
사이
에 빈 곳이 보일 거예요. 그러면 점을 50만 개로 늘리면 어떨까요? 아까의 현미경보다 10배 이상 배율이 좋은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또 빈 곳이 보이겠지요. 아주 배율이 좋은 현미경이라면, 점을 몇 백만 개로 ... ...
초신성 이용한 암흑에너지 측정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물질을 받다가 일정한 질량을 넘어 폭발하면서 생긴다. 밝기가 일정하기 때문에 은하
사이
의 거리를 측정하는 지표가 된다.거리가 멀수록 겉보기 밝기가 어두워지는 점을 이용하면 초신성이 속한 은하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이 거리를 측정해 우주가 팽창하는 정도를 알아내는 것이다.지금까지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않은 과일이나 채소도 깨끗이 씻을 수 있다. 오존수로 매실을 세척하면 표면에 난 잔털
사이
의 미생물을 10% 정도만 씻을 수 있지만 마이크로 버블은 98%의 세균을 죽일 수 있다. ◀대구경북능금농협의 세척사과 브랜드 ‘껍질째 먹는 안심사과’. 오존수로 세척한 후 개별포장해 판매한다.마이크로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런 로봇의 손 기능은 굉장히 빈약합니다. 물건을 ‘잡고’ 있는 것이 아니라 손 관절
사이
에 끼우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사람은 눈을 감고 있어도 어떤 물건을 만져보는 것만으로도 많은 정보를 순식간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손끝의 감각 덕분이죠. 1~2초 정도 이곳저곳 만져 보면 물건의 재질, ... ...
달라붙는 속옷이 몸에 좋은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변형(2) 되는 부작용이 생겼다.]팬티는 앞부분을 덮는 형태부터 시작해 중세에는 다리
사이
를 두른 형태로 발전했다. 19세기에는 긴 옷을 내려 입거나 겹겹이 입는 페티코트 속에는 팬티를 입지 않는 것이 더 건강하다고 여겨지기도 했다. 19세기 후반부터는 몸에 밀착되는 팬티가 등장했다.속옷이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주장으로 그리스 시대부터 르네상스까지 계속돼 왔다. 이 이론은 이탈리아의 의
사이
자 시인인 프란체스코 레디의 실험에 의해 도전받기 시작했다.그러나 레디의 실험은 동물의 자연발생설을 결정적으로 부정한 것이지 미생물의 자연발생설을 부정한 직접적인 실험은 아니었다. 자연발생설을 ... ...
이전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