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이 구의 부피를 잰다. 규소원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돼 있으므로 X선으로 규소원자
사이
의 거리를 잴 수 있다. 이렇게 구의 부피와 규소원자 간 거리를 알면 구를 이루는 규소원자가 몇 개인지를 계산할 수 있다.이 방법은 직관적이고 실용적이지만 단점이 있다. 규소가 산화되면서 질량에 변화가 ... ...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것은 지난해 10월. 현재 2만 개가 넘는 콩이 모였다. 콩 1개는 100원의 가치가 있으니 4개월
사이
에 200만 원이 넘는 기부금이 모인 셈이다. 김 교수는 “과학의 기쁨을 나눠줄 수 있는 블로그 운영과 나노원정대 모집을 앞으로 계속해서 진행할 것”이라고 뜻을 밝혔다 ... ...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과학자가 아닌 이상 깊이 있는 책을 쓸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저는 과학과 예능
사이
의 징검다리가 돼 사람들을 많이 끌어당기고 싶습니다.”이윤석 씨는 ‘웃음의 과학’을 통해 과학적 사실을 알아가는 것이 재미있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고 싶다고 한다. 개그맨으로서도 잠깐뿐인 몸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동남아시아를 통과한 뒤 남쪽해안선을 따라 계속 동쪽으로 나아가 약 3만~1만 2000년
사이
에 황해(당시는 육지였다)를 건너 한반도와 일본까지 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의 한국인이 이시기에 건너온 현생인류의 후손이라면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를 지니고 있을것이다.물론 한반도에는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과학자들
사이
에서 여전히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파워 vs 훅의 대결1664년 영국의 의
사이
자 실험가인 헨리 파워는 현미경 관찰에 관한 초창기 책인 ‘실험철학(Experimental Philosophy)’을 출판했다. 파워는 이 책에 여러 생물에 대한 현미경 관찰 내용을 기록했다. 그 가운데에는 파리의 놀라운 ... ...
의약품에 숨은 화학 원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프로스타글란딘은 손상된 조직에 염증을 만들고, 붓기를 일으키기도 한다. 아스피린은
사이
클로옥시지나제라는 효소에 붙어서 프로스타글란딘을 더이상 만들지 못하게 한다. 뇌는 더 이상 고통을 느끼지 못하고, 붓기도 가라앉는다. 아스피린과 함께 진통제로 많이 이용하는 약은 타이레놀이다.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살고 있는 미생물 3000종의 게놈을 밝히겠다는 원대한 계획이다. 연구자들은 지난해 5월 ‘
사이
언스’에 첫 결과로 박테리아 178종의 게놈을 밝힌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까지 총500여 종의 게놈을 해독한 상태다.‘네이처’ 1월 27일자에는 장내 미생물인 비피더스균이 아세트산염을 분비해 인체에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완전대체론을 지지하고 있으며, 주류 학자들도 이쪽 입장이 많다. 하지만 지난 2~3년
사이
에 나온 집단 유전학의 연구 결과와 2010년 막스플랑 크연구소의 연구 결과를 보면 네안데르탈인이 현생인류의 유전자에 어느 정도 기여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완전대체론도 100% 옳다고만은 말할 수 없는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수 없다.] [바람의 작품 빗살무늬 토기를 연상케 하는 무늬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예멘
사이
에 있는 룹알할리 사막의 모습이다. 바람이 빚어 놓은 사구가 일렬로 늘어서 독특한 빗살 무늬를 만들었다. 무늬가 끊긴 가운데 부분에는 바람을 막을 수 있는 고원이 있고, 거기에 사우디아라비아의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크기가 꼭 2.45MeV인데, KSTAR에서 정확히 에너지 크기가 2.45MeV인 중수소가 발견됐다. 저널 ‘
사이
언스’는 2009년 2월호에 'KSTAR가 한국을 핵융합 연구의 선두주자로 끌어올렸다‘고 표현했다.최근엔 외부 장치를 추가 설치하고 내부를 리모델링해 성능을 더 높였다. 지난해 말 기체 상태의 중수소를 ... ...
이전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