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뉴스
"
분
"(으)로 총 10,674건 검색되었습니다.
UAE 화성 프로그램 이끈 힘은 '30대''여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이런 임무를 수행한 적이 없다. 이안 플래치포드 영국 과학박물관장은 "기존의 대부
분
의 화성 탐사 임무들이 지질학에 관심을 두고 있었다면, 아말은 화성 기후와 관련해 가장 포괄적이고 전체적인 그림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UAE는 우주 개발을 미래 기회를 창출할 기회로 보고 있다. ... ...
UAE 탐사선 ‘아말’은 어떤 임무 수행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지구로 보내 온다. 탐사선에서 지구 지상망까지 무선 신호가 도달하는 데 약 13~26
분
이 소요된다. UAE 지휘통제센터와의 통신은 일주일에 두 번 6~8시간 이뤄질 수 있다. UAE 우주청은 “국제 우주 과학 커뮤니티에 기여하기 위해 화성 대기 탐사라는 독창적인 미션을 탐사선 ‘아말’에 부여한 ... ...
UAE 화성 탐사선 '아말' 성공(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아래 수증기를
분
석하는 적외선
분
광기, 대기 내 산소와 수소 포화도를 확인하는 자회선
분
광기가 실려 있다. 55시간마다 고도 2만~4만 3000km 타원 과학 궤도를 돌며 세계 최초로 화성의 기후도를 그릴 계획이다. 아말의 임무 계획도다. UAE 우주청 제공 ... ...
UAE 화성탐사선 '아말' 발사 성공(2보)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아래 수증기를
분
석하는 적외선
분
광기, 대기 내 산소와 수소 포화도를 확인하는 자회선
분
광기가 실려 있다. 약 7개월간 시속 12만 1000km의 평균 비행속도로 날아 2021년 2월 화성 궤도에 도착할 예정이다. 55시간마다 고도 2만~4만 3000km 타원 과학 궤도를 돌며 세계 최초로 화성의 기후도를 그릴 ... ...
UAE 화성탐사선 발사 성공(1보)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아랍에미리트(UAE) 화성 탐사선 ‘아말’이 이달 20일 오전 6시 58
분
일본 큐슈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발사에 성공했다. ...
원안위, 한울6호기 원자로 자동정지 사건 조사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7.19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원안위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정지 원인
분
석 및 한수원의 재발 방지대책 등을 철저히 검토,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 ...
[생방송]UAE 화성탐사선 ‘아말’ 20일 아침 발사(6시58
분
)
동아사이언스
l
2020.07.19
오존 흔적을 찾는 고화질 카메라와 화성 대기권 아래 수증기를
분
석하는 적외선
분
광기 등이 탑재됐다. 2021년 2월경 화성에 도착할 예정이며 화성의 대기와 기후를 관측해 국제 우주 과학에 기여하는 게 목표다. ※생방송 가서 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SXsh4bQ52zY ... ...
[주말N수학]'내사랑 철인3종 경기' 남다른 취미생활에 푹빠진 수학자들
2020.07.18
수학과 상관 없이 인생에 즐거운 취미생활이 있다는 건 참 중요한 것 같습니다. 여러
분
들도 즐거운 취미생활이 있길 바랍니다. ※관련기사 수학동아 7월호,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7화 수학자의 슬기로운 취미생활 ※필자소개 이승재 영국 옥스퍼드대 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 ...
"클럽발 집단감염 전국 12개 시도로 전파"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상승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5월 25일까지 보고된 유흥업소 연관 감염사례 246건도
분
석했다. 그 결과 추가 전파는 최대 6차까지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1차 감염 사례는 96건, 이후 감염 사례는 150건으로 약 1.6배 높았다. 지역별로는 서울은 25개 자치구 중 마포구를 제외한 전역으로 확산됐다. ... ...
태양 곳곳서 일어나는 캠프파이어 포착...가장 가까이서 촬영한 이미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안쪽 궤도인 4200만km까지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태양과 수성 간 거리의 4
분
의 3이자 태양 지름의 약 60배 거리에 해당한다. 오는 2030년까지 7년간 태양을 관측한다. 7차례의 플라이바이를 더 거치며 태양 적도면과 최대 33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태양을 관측할 예정이다. ... ...
이전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