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금·유·학·현·장·에·서·는 응용천재 일본, 기초연구에 눈돌려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일본의 이공계 대학 연구의 특징은 실험중시와 조수제도 피라미드구조의 연구실로 압축할 수 있다.올해로 나의 일본유학생활도 6년째에 접어든다. 돌이켜보면 85년 한국에서 ... 태도를 가진 일본인들과 이들에게 주어지는 양질의 정보, 이 둘의 상호작용이 '과학일본'의 기초는 아닐까 ... ...
- 무시무시한 괴물들의 잔치과학동아 l1991년 03호
- 향해 움직이고 있다).쌍안경의 도움을 받아 별자리 모습을 완성 해보자. 성좌도에서 본 것처럼 여러분도 게의 다리 하나를 찾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럼 이 별자리는 왜 이처럼 어둡고, 또 다리가 하나 잘려진 모습일까. 그 이유는 신화속에 잘 나타나 있다. 이 게자리의 가운데에는 너무나도 유명한 ... ...
- 뇌는 눈이 볼 수 없는 것을 본다과학동아 l1991년 03호
- 나머지는 평범한 내용이었다. 이 슬라이드는 두 번 상영됐다. 첫번째는 그들이 본 것에 대해 서로 얘기하도록 했고 두번째는 조용히 지켜보게 했다.정상적인 실험집단의 사람들은 두번의 슬라이드 상영시 잔인한 장면이 나올 때마다 극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뇌종양 수술을 받은 환자와 4명의 유사한 ...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과학동아 l1991년 03호
- 난파직전의 에너지보존법칙을 구한 상상속의 소립자. 비록 그 존재는 확인됐지만···벌써 61년 전인 1930년 12월 어느 날 방사성동위원소의 전문가들이 독일의 ... 맞기도 했다. 그러나 중성미자의 개념이 파울리에 의해 제기됨으로써 다시 물리학의 기본원리로서의 위치를 고수하게 되었다 ... ...
- 화성(Mars)과학동아 l1991년 03호
- 로마인들에게는 '전쟁의 신'으로 숭앙됐었다.17세기 초 망원경이 등장하면서 망원경으로 본 화성은 전에 생각했던 것과는 다른 모습임이 밝혀져 '불의 천체'에 대한 인식은 새로워졌다. 망원경으로 관측한 화성 표면이 지도로 그려졌고, 흰색을 가진 화성 극관(極冠)이 이탈리아 천문학자 카시니 ... ...
-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과학동아 l1991년 03호
- 그렇다면 사람뇌보다 무거운 뇌를 가진 동물은 없을까. 그렇지 않다. 뇌의 중량만을 놓고본다면 코끼리가 약 5㎏이고 고래가 약 8㎏으로 사람뇌보다 훨씬 무겁다. 그러나 체중 대비 뇌중량은 사람에 미치지 못한다. 체중 대비 뇌중량은 사람이 약 50분의 1이지만 코끼리와 고래는 약 2천분의 1이다. ... ...
- 천재 김정호의 선물 대동여지도과학동아 l1991년 03호
- 우리가 알고 있는 4㎞가 아니었다. 4㎞로 환산하는 것도 따지고 보면 일제의 잔재다. 일본에서는 명치유신 이후 1리(里)를 4㎞로 환산해 사용했다. 그들이 한국을 식민지 통치하면서 10리를 4㎞로 쓰게 하면서 생긴 값이다. 그러므로 조선시대의 문헌에 등장하는 거리를 미터단위로 계산할 때는 10리=4. ... ...
- PART Ⅱ 쾌감도 느끼게 하고 흥분도 삭인다과학동아 l1991년 03호
- 존스 홉킨스 의과 대학에서는 알츠하이머병(노인성 치매)으로 사망한 환자의 뇌를 검사해본 결과 아세틸콜린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다량으로 손상돼 있음이 밝혀졌다.이외에도 특히 다른 동물보다 인간뇌에 많이 분비돼 뇌를 각성시키고 쾌감을 일으키는 신경전달물질로 도파민이라는 것이 있다. ... ...
- PART Ⅴ 잠자는 뇌를 흔들어 깨워라과학동아 l1991년 03호
- 좌우뇌의 전환훈련법, 오감(五感)을 통한 두뇌개발법, 음악 운동 그림을 이용한 뇌력향상법에 대해 알아보자.뇌의 발달은 유전인가, 환경인가. 이에 대한 논 ... 공상을 즐긴다거나, 유머와 재치로 뇌를 유연하게 한다든가, 무아지경에 빠져들어가 본다든가, 명상을 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 ...
- 감기와 독감은 「2란성 쌍둥이」과학동아 l1991년 03호
- 아스피린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항생제는 효과 없어사실 감기를 치료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은 없다. 감기에 걸렸을 때에는 육체적인 과로를 피하고 쉬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실내는 너무 덥지 않고 또 건조하지 않아야 한다. 가급적 환자는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 좋고 미열이 있거나 ... ...
이전448449450451452453454455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