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한다. 문헌조사에 따르면 이들은 카마라사우리데과 중에서도 미국의 오스
본
(Osborn, 1924년)이 몽고에서 발견, 학계에 보고한 것(Asiatosaurus mongoliensis)과 유사하다. 아무튼 국내에서 발견된 공룡화석중 적어도 과(科)가 분명히 밝혀지기는 이것이 처음이다. 1974년에도 경남하동군 진교면 양포리 해안에서 ... ...
화산재하면 돌가루만 연상했는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경계부위가 두군데나 있기 때문이죠. 그 하나는 유라시아판과 태평양판이 부딪치는 일
본
해구이고, 다른 하나는 유라시아판과 필리핀판이 부딪치는 류큐(琉球)해구이지요. 류큐해구는 난카이(南海)해구라고도 합니다 ... ...
계산하는 기계를 좇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단순한 생각이 도리어 이렇게 아름다운 기계를 만들어 내었는지도 모른다.총을 처음
본
사무라이의 기분은 어떠했을까. 총의 등장은 스승에게 대나무 작대기로 얻어맞으며 배워온 검법을 무용으로 전락시켜 버렸다. 또한 고수와 하수의 차이를 무너뜨려버렸다. 총잡이 앞에서 고수와 하수를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우생학의 창시자, 영국의 골든이나 미국의 케텔의 반사나 감각능력 측정 테스트와는 근
본
적으로 다른 것이었다. 내용뿐만 아니라 그 연구의 배경도 아주 판이한 것이었는데, 비네는 국민학교의 특수학급에서 특별한 교육을 받을 필요가 있는 아이들을 어떻게 선별해야 할 것인가 하는 고민에서 ... ...
일찌감치 포기하려는 후배에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모르고 넘어가기도 했어. 아무리 어려운 문제도 기
본
내용이 중복되는 것 뿐이니까 기
본
을 확실히 해두는 게 가장 중요해.네가 하도 수학을 어려워하고 걱정을 하길래 장황하게 늘어놓았구나. 너나 다른 사람들이 수학을 못하는 게 아니라 단지 자신이 없어서 겁을 내는거니까 자신을 가지고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흐트러지게 마련이다.보통 실험실이나 우리 생활주변의 규모가 작은 현상에서는 위에서
본
것처럼 비균질 상태에서 균질상태로 진행된다. 그래서 19세기의 과학자들은 우주가 오랜 세월이 지나면 엔트로피가 최대인 균질한 상태로 변해 모든 변화가 종식되는 죽음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그러나 ... ...
풀어쓰는 컴퓨터역사① 셈의 기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흐르고 있기 때문일까. '(들소를 나타냄)마리 잡았음'이라고 쓰여있는 동굴 벽화를 상상해
본
다. 서부시대의 총잡이는 자신이 죽인 사람의 수만큼의 눈금을 총신에 새겨두었다고 한다. 수많은 눈금이 새겨진 권총을 허리춤에 출렁거리며 걷는 기분은 나쁘지 않았을 것이다. 로빈스 크루소가 날짜를 ... ...
수학공부 다시 출발점에 서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것을 말한다. 이 순간 교사도 학생으로부터 배운 것이다. 방금 전에 이야기한 일
본
의 노수학교사가 자비를 들여가면서 강습장에 출석한 이유도 그런 '공감'을 얻겠다는 절실한 소망이 있어서 그랬던 것 같다.대입제도의 개혁의 선행조건한국은 통일신라시대 이후 조선조 말까지의 1천3백년동안 줄곧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이 세계지도는 목판으로 인쇄된 그 당시의 세계지도 중에서 가장 크고 훌륭한 판
본
으로 세계지도 수집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 목판의 유물도 지금 서울대 박물관에 남아 있어, 조선시대 지도 판각(板刻) 기술의 높은 수준을 그대로 말해주는 귀중한 유물로 평가되고 있다 ... ...
잡아먹히지 않는 신비로운 나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번식이 가능하도록 오랜 삶을 산다. 이 총독은 삼켜도 아무 탈이 없건만 한번 제왕을 먹어
본
쓰라린 경험이 있는 새들은 총독나비 근처엔 얼씬거리지도 않으려든다. 모험을 또다시 하기 싫어서다.그러나 언제나 예외라는 것이 있어서(이 역시 무차별적인 진화덕택이다) 어떠한 독성에 면역을 개발한 ... ...
이전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