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닥터 그랜마, 전자파에 가로막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자기 전까지 문자메시지를 하다가 머리맡에 휴대전화를 두고 자는 건 아니죠?허어억! 안 되겠다. 오늘부터 절대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겠어!후훗! 그럴 필요 없어요, 닥터 그랜마. 요즘 같은 세상에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무척 불편할 거예요. 그리고 전문가들은 휴대전화를 하루에 30분 ... ...
- [시사] CHIHULY 유리와 자연의 입맞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그런데 여기 차가운 온실이 있다. 바로 치훌리의 ‘글라스하우스(glasshouse)’다. 이 온실 안에는 더운 지방의 식물 대신 유리로 된 꽃이 벽면을 타고 넝쿨을 이루고 있다. 글라스하우스는 미국 시애틀의 ‘치훌리 가든 앤 글라스(Chihuly Garden and Glass)’ 중심부에 있다. 치훌리 가든 앤 글라스는 ...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준수하고 수학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모습을 보일 때까지 수학자들은 NSA의 일을 하면 안 된다는 글을 ‘미국수학학회지’ 2014년 6~7월호에 실었다. 더불어 그는 무분별한 개인정보 수집이 테러 방지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 5년간 미국 국방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NSA가 수집한 대량의 정보가 ...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실험을 했다. 얼굴 인식 알고리즘의 핵심이 눈, 코, 이마 사이의 간격을 파악한다는 데 착안해 화장으로 양 눈의 간격을 알아볼 수 없게 한 것이다.이제 얼굴을 우리 눈으로만 보고 판단하는 시대가 지나고 있다. 어쩌면 수학은 우리 얼굴에 대해 우리가 느끼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알려줄지도 모른다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라며 “샴페인을 딸 때는 코르크가 아닌 병을 돌려야 안전하게 열 수 있다”고 진지한 표정으로 말했다. 위트 있는 그의 모습과 코르크 마개 앞에 쩔쩔대는 필자의 모습이 사진으로 남아있다. 나는 모세르 부부와도 연구를 함께 한 적이 있다. 2005년 격자세포 발견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있기 때문에, 핵변환까지 나아가기까지 가시밭길이 남아 있다. 하지만 다양한 기술적 대안이 있다면 서로 장단점을 비교해 보며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핵폐기물 문제는 발등의 불이고, 현재 나와 있는 어떤 해결책도 100% 만족스럽지는 않다. 핵변환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공전의 ... ...
- [hot science] 중생대 바다의 난폭한 주인, 해양파충류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보고했다. 목뼈를 익룡의 날개 뼈로 오인했기 때문이다. 화석의 주인이 이렇게 말도 안 될 정도로 목이 긴 해양파충류였다고는 상상도 못했던 것이다. 빛 바랜 사진첩 같은 해양파충류 시대 파충류의 시대가 끝난 지도 어느덧 6600만 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해양파충류 역시 지구의 역사 속으로 ... ...
- 봉 지아, 브라질 월드컵!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번 월드컵에서 우승하는 나라는 브라질?콜롬비아 에아핏대학교 경제학자인 안드레스 아산 교수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주립대학교 통계학자인 호나탄 히메네스 교수팀은 이번 월드컵에서 어떤 나라가 우승할지에 대해 연구했다. 지금까지 나라별 축구 성적과 전 세계 축구팬들이 배팅한 ... ...
- [life & tech] 더럽혀진 선행은 선행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점을 인식시키면, 그제야 의도가 무엇이었든 그것이 선한 행동이었다고 인정하고 안하는 것보다 낫다고 말한다.필자의 생각을 덧붙이면, 선한 행동에 대한 판단은 궁극적으로는 그 사람을 신뢰할 수 있는가에 대한 판단과도 이어지는 만큼 보수적일 필요가 있다. 하지만 행위의 선함에 대한 판단은 ...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교수(위 사진)가 수상에서 제외된 사실이 국제적으로 큰 관심을 모았다. 그런데 안타깝다는 의견 사이로 “드디어 노벨상과 관련해 논란이라도 일으키는 인물이 나타나 반갑다”는 반응도 있었다. 이제야 국제 무대에 등장할 만한 자타 공인의 실력파 학자가 나오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올해도 ... ...
이전4544554564574584594604614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