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타인"(으)로 총 5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의 色수다] (ep2) 완벽주의가 성관계만족도를 망친다2016.12.04
- 비난, 자기비하와 관련을 보이며 완벽주의가 높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타인의 평가를 크게 신경쓰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GIB 제공 이런 완벽주의는 지나칠 경우 행복과 정신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곤 한다. 따라서 플렛(Flett) 등의 학자들은 완벽주의를 불행을 만드는 ... ...
- 화술전문가가 분석한 박근혜 대통령 3차 대국민 ‘담화(담와?)’2016.12.01
- 소통은 오히려 자연스럽게 권위를 생산한다. 권위는 스스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타인이 부여하는 것이다. ※ 필자소개 천호림. 스피치 칼럼니스트. 저자. 기업과 대학에서‘말’로 인간의 심리와 숨겨진 의도를 분석하고 강의하고 있으며, 직접 세일즈를 하며 자신이 말한 설득법을 ... ...
- 반사회성 인격 장애에 대한 궁금증 4가지2016.11.26
- 형성이 어렵습니다. 공감에 기초한 양육을 받지 못해 공감 회로가 발달하기도 힘들죠. 타인의 감정에 관심이 없어지는 후천적 요인이 되는 겁니다. Q4. 반사회성 인격 장애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일부에서는 어릴 적부터 나타나는 소견을 바탕으로 조기 개입을 주장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어떤 ... ...
- 사이코패스가 리더가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2016.11.22
- 분명 많은 한계들이 있다. 대통령들의 성격 특성을 직접 측정할 수 없어서 회상을 통해 타인이 간접적으로 측정했다는 것, 학자들이 했다고는 하지만 그 판단의 객관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점, 대통령의 어떤 성격특성이 어떤 성과를 예측한다기보다 거꾸로 성과가 좋은 대통령에 대해 거꾸로 ... ...
- 사기꾼이 출세하는 더러운 세상! 살고싶지 않아요. 어떻게 할까요?2016.11.14
- 공통의 사기꾼 원형, ‘트릭스터(trickster)’가 있다. 2. 긴 사회적 적응의 과정을 통해서, 타인을 기만하기 위한 심리적 모듈이 진화하였다. 3. 하지만 보다 강력한 심리적 모듈, 즉 ‘사기꾼 탐지 모듈’이 같이 진화하였다. 4. 사기꾼의 짧은 성공에 혹하지 말고, 지속가능한 전략을 취하면 반드시 ... ...
- 권력과 사교집단, 그 뒤에 숨은 인간의 심리2016.10.27
- 그런 권위가 되려고 해서는 안됩니다. 타인을 지배하고 마음대로 다루고 싶은 충동, 혹은 타인에게 기대어 자아를 버리고 의존해버리고자 하는 충동에서 자유로워 질 때, 진정한 자유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자유로운 시민이 많아질 때, 사회도 건강해질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2016.10.25
- 희망을 찾고 있다. 즉 인간은 침팬지 이상으로 잔인할 수도 있지만 보노보 이상으로 타인에 대해 배려할 줄도 아는 존재라는 말이다. 흥미롭게도 드 발 교수는 책에서 중국의 철학자 맹자의 ‘측은지심(惻隱之心)’ 일화를 인용하고 있다. 이 말에 공감은 하면서도 오늘날 과학이 인간의 폭력성의 ... ...
- 내 감정 재평가하기 vs 억누르기, 무엇이 효과적?2016.10.18
- 연구에서는 불편한 감정을 느낀 후 재평가를 하거나 억누르기를 하는지의 여부가 ‘타인’에게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Butler et al., 2003). 재평가를 한 사람의 파트너에 비해 억누르기를 한 사람의 파트너가 의사소통 과정에서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았다. 속은 부글부글 끓지만 ‘아니 ... ...
- 자기 방어와 합리화, 어떤 상황에서 튀어나올까2016.10.11
- 자기 자신을 향하나, 곧 자신의 자존감을 지켜야 한다는 내적 저항이 생기게 되고, 결국 타인에게 비난의 화살을 돌림으로써 여전히 자신은 잘났고 우월하다는 느낌을 유지하고 부끄러움을 떨쳐내는 것이 아니겠냐고 설명하기도 했다. 개인적으로도 자기보다 더 잘난 누군가로 인해서 자신의 ... ...
- 합법적 자료 활용 vs.남의 연구자료 가로챈 ‘기생충’… 누가 옳을까2016.10.09
- 없으며, 오히려 다양한 데이터 해석으로 과학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과 함께 ‘타인의 연구결과를 무단으로 가로채는 행위’라는 지적도 나온다. 세계적인 의학학술지 ‘뉴잉글랜드의학저널(NEJM)’의 수석 편집장인 ‘제프 드레이즌’과 ‘댄 론고’는 지난 1월 21일 사설을 발표하고 다른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