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명상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실험참가자들이 명상을 하면서 스트레스 지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측정했다. 그
결과
명상 초기에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알 수 있는 ‘코헨의 스트레스 척도’가 명상을 하지 않은 13명보다 높았다. 그런데 마음빼기 명상을 한 뒤 스트레스 지수가 눈에 띄게 줄어 있었다.최근 국내에서는 지식 뿐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26쪽)이라고도 칭송했다.바이오로깅으로 밝힌 진실은 실로 놀랍다. 과거의 틀린 연구
결과
를 바로잡기도 한다. 어류의 속도가 대표적이다. 성실한 저자는 오개념의 출처가 1965년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당시 연구팀은 다랑어가 찌를 물었을 때 낚싯줄이 끌려가는 속도를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조절하는 세포에서 발현돼 암을 직접 공격하는 T세포의 PD-1 수용체와 결합한다. 그
결과
T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리고 사멸에 이르게 한다. 연구자들은 PD-L1이 과하게 발현될 경우 T세포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데 착안했다. PD-L1과 PD-1의 결합을 억제하도록 항PD-L1 및 항PD-1 면역항암제를 주입해 ...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점프할 때 다리 근육만 이용하는 것에 비해 딱딱한 외골격까지 모두 이용하는 거죠. 그
결과
몸길이의 100배 만큼이나 높이 뛸 수 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벌레야? 로봇이야? 사이버그(bug)가 온다!Part 1. 바퀴벌레 아니고 로봇!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Part 3. 사이버그야, ... ...
얼꽝 용승이 인스타그램 스타 만들기 대작전!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좁은 범위만 볼 수 있다.이 효과 때문에 상의 중심과 가장자리 부분의 배율이 달라지는
결과
가 나타나. 그래서 화각이 넓은 광각렌즈는 상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배율이 점점 작아지는 ‘술통형 왜곡’이 발생하고, 화각이 좁은 망원렌즈는 배율이 점점 커지는 ‘실패형 왜곡’이 생기는 거야 ... ...
수의 시선을 담다 ‘유현미 작가’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높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간파하고, 병원의 위생 상태를 개선하자고 건의했어요. 그
결과
의사보다도 많은 사람을 살렸지요. 이처럼 수학은 중요합니다.”수학과는 담 쌓고 살았을 것 같았던 예술가가 수학을 이렇게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게 놀라웠다. 유 작가는 특히 일본의 작가 오가와 ... ...
[과학뉴스] 혈당과 안압, 콘택트렌즈로 한 번에 본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배터리 없이 작동한다. 연구팀이 살아 있는 토끼의 눈에 이 렌즈를 적용해서 실험한
결과
, 렌즈가 변형되거나 눈물 속에 이물질이 들어 있어도 혈당과 안압을 제대로 측정했다. 박 교수는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스마트 콘택트렌즈 센서를 실현시킬 방법을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38 ... ...
[과학뉴스] 장내미생물 나이는 4억 살 이상?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대표적인 장내미생물 중 하 나 인 장내구균(Enterococcus )의 나이가 무려 4억 살이 넘는다는 연구
결과
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마이클 ... 됐다”며 “이는 강력한 항생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
는 ‘셀’ 5월 11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cell.2017.04 ...
[과학뉴스] 아토피 피부염 완치, 실마리 찾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KLK7 유전자가 과다발현하면서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일으킨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연구
결과
는 ‘알레르기 및 임상면역학저널’ 5월 4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jaci.2017.01.03 ... ...
[과학뉴스] 고래의 짝짓기를 엿보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질과 맞는지 재구성했다. 또한 실리콘 모형으로 해양 포유류의 생식기 모양을 시각화한
결과
, 짝짓기 시 암컷의 질과 수컷의 음경이 서로 가장 잘 맞는 최적의 위치가 있음을 확인했다.오르바흐 연구원은 “짝짓기 때 생식기의 상호작용을 관찰했다”며 “해양 포유류 생식기의 진화과정뿐만 아니라 ... ...
이전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