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장내미생물 나이는 4억 살 이상?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대표적인 장내미생물 중 하 나 인 장내구균(Enterococcus )의 나이가 무려 4억 살이 넘는다는 연구
결과
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마이클 ... 됐다”며 “이는 강력한 항생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
는 ‘셀’ 5월 11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cell.2017.04 ...
[과학뉴스] 인간의 후각, 기대 이상!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흔히 인간의 후각 능력은 동물에 비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뇌 전체에서 후각신경구가 차지하는 상대적 크기(비율)가 다른 포유동 ... 수 있다”며 “후각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중요한 감각”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사이언스’ 5월 12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ence.aam726 ... ...
[과학뉴스] 공룡이야, 닭이야? 깃털 가진 소형 수각류 공룡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공룡에서 조류로 진화하는 과정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
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5월 2일자에 실렸다. doi:10.1038/ncomms1497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양쪽에 서로 다른 종류의 단백질을 발현시키면 신경관이 닫히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
도 있습니다.신경관이 닫히는 시기는 배아가 급격하게 자라는 시기와 겹칩니다. 따라서 신경주름이 붙는 시기를 놓치면 배아는 신경관이 열린 채 발달을 계속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를 신경관 결손이라고 합니다. ... ...
[과학뉴스] 새로운 문제도 척척~! 똑똑한 뒤영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모형이 노란색 공을 원판 가운데로 옮기면 설탕물이 나오는 상황을 보여 준 거예요.그
결과
, 실험에 참여한 9마리의 뒤영벌은 모두 설탕물을 먹기 위해 모형벌을 따라 공을 굴렸어요. 실험을 반복할수록 공을 옮기는 데 걸리는 시간은 점점 짧아졌지요. 뒤영벌이 새로운 상황을 확실히 배운 거예요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같은 부피에서 기체의 양이 줄어들면 기체가 주위를 밀어내는 힘인 압력이 낮아진다. 그
결과
컵 안의 압력은 컵 밖의 압력인 대기압보다 작아지고, 이 차이만큼 컵 밖에서 안쪽으로 물이 밀려 올라간다.실험 방법 둘. 착시를 이용하라!원리: 스피커에서 28Hz의 소리가 흘러나오면, 스피커는 1초에 28번 ...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점프할 때 다리 근육만 이용하는 것에 비해 딱딱한 외골격까지 모두 이용하는 거죠. 그
결과
몸길이의 100배 만큼이나 높이 뛸 수 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벌레야? 로봇이야? 사이버그(bug)가 온다!Part 1. 바퀴벌레 아니고 로봇!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Part 3. 사이버그야, ... ...
Part 2. 바닷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들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또 바닷물에는 염분 외에도 여러 물질들이 많은데, 이들이 막의 구멍을 막아버려요. 그
결과
시간이 지날수록 염분을 거르는 효율이 줄어들지요. 그래서 주기적으로 막을 바꿔 줘야 한답니다.남은 바닷물을 처리하는 문제도 있어요. 물이 빠져나가 염분이 높은 상태가 된 남은 바닷물을 그대로 ... ...
[수학뉴스] 최고의 투수가 되는 방법은?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최저 속도보다 약간 빠르게 던질 때 정확했어요. 앞으로 공을 던지는 연습을 할 때 연구
결과
를 참고하면 좋겠죠?이번 연구는 ‘영국왕립오픈사이언스’ 4월 26일자에 실렸습니다 ... ...
최일규 KAIST 박사 후 연구원 일도 취미도 끝장 본다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만이 수학을 잘 할 수 있어요.또 문제를 맞혔는지 틀렸는지
결과
만 따지는데, 사실은 맞은 문제도 왜 맞았는지 아는 게 중요해요. 완벽하게 알아서 푼 문제도 있지만 어떤 경우 감으로 찍어서 맞히기도 하거든요. 개념을 확실히 모르면 같은 유형의 문제라도 틀릴 수가 ... ...
이전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