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칵세타-헥크비스트의 추측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연구팀은 깃발 대수라는 새로운 도구를 문제 풀이에 적용해 컴퓨터 계산으로 좋은
결과
를 얻었지요. 머지않아 절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것 같은 순수 수학 문제도 컴퓨터를 적재적소에 잘 사용해 해결할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 ...
할리갈리의 아버지 하임 샤피르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게임이 끝나버리거나 너무 오래 걸리지 않도록 셀 수 없이 많은 테스트를 했고, 그
결과
지금의 카드 조합이 됐습니다. 이제 몇 명이 게임을 하더라도 적절한 순간에 과일 다섯 개가 나와요. 혹시 더 나은 의견이 있나요? 그럼 언제든 말씀해 주세요.보드게임이 수학과 관련 있을까요?많아요. ...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ICSI)로 태어난 남성이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생식 능력이 떨어질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
가 나왔다. doi:10.1093/humrep/dew245) 벨기에 브뤼셀대병원 임상유전학센터 플로렌스 벨바 교수팀이 ICSI로 태어난 남성 54명을 자연임신으로 태어난 남성 57명과 비교분석한
결과
, 운동성이 있는 정자의 수가 절반에 ... ...
[과학뉴스] 큰 눈 덕분에 바다에서 육지로 진화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넓어지거든요.연구팀은 동물 눈이 커질 때의 장점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했어요. 그
결과
눈이 3배 커지면 동물의 시력이 100만 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연구팀은 물속의 동물들이 이렇게 커진 눈으로 육지에 사는 노래기, 지네, 거미 등 풍부한 먹이를 발견했을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이를 ... ...
[공룡은 왜?] 사체에서 물고기까지! 육식공룡의 먹잇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폭이 좁고 깊이가 낮기 때문에 물속에 있을 때 눈만 내어 놓고 있을 수 있어요. 그
결과
먹잇감이 눈치 채지 못하게 가까이 접근하는 사냥법을 사용했을 것으로 보고 있답니다.#육식공룡들을 보면 제각기 다른 신체적 특징을 갖고 있어요. 그건 공룡이 처한 환경에서 살아가기 위한 ‘공격’과 ... ...
[에디터 노트] 백신 불신이라는 미신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매우 높은 확률로 사실이 아닙니다. 그게 데이터와 통계, 그리고 광범위한 과학적 연구
결과
가 교차 검증을 통해 알려주는 유일하게 믿을 만한 결론입니다.백신은 자신은 물론 속한 사회를 건강하게 지켜주는 강력한 방어막입니다. 직접 백신을 맞지 못하는 신체적 약자까지 함께 보호해 주는, ... ...
[과학뉴스] 까마귀도 배신자를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흔히 기억력이 안 좋은 사람에게 ‘까마귀 고기를 먹었느냐’고 이야기 하는데, 이 비유가 과학적으로 맞지 않다는 연구
결과
가 나왔다. ... 사회 안에서 어떻게 관계를 맺고 행동하는지를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
는 ‘동물 행동’ 6월호에 게재됐다. doi:10.1016/j.anbehav.2017.04.00 ... ...
[과학뉴스] 지구 대기 속 제논의 고향은 혜성?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지구 대기에 존재하는 제논의 22%가량이 혜성에서 왔을 거라고 추정했다. 이번 연구
결과
는 학술지 ‘사이언스’ 6월 9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ence.aal349 ... ...
[과학뉴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버섯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곤드와나가리시테스 마그니피커스(Gondwanagaricites magnificus )라는 학명을 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
는 학술지 ‘플로스원’ 6월 7일자에 실렸다. doi:10.1371/journal.pone.017832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실제로 사람은 땀 냄새 등 체취를 인식하는 능력이 다른 동물보다 뛰어나다.수많은 연구
결과
는 사람의 후각 능력에 대한 오명을 벗기는 데에만 그치지 않는다. 대뇌가 감추고 있는 수많은 신비를 하나씩 알아가기 위해서라도 후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
이전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