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사라져라 흰머리, 자라나라 검은머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가 어떤 영향을 받는지 추가 연구를 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유전학 저널인 ‘유전자와 발생’ 5월 2일자에 실렸다. doi:10.1101/gad.298703.11 ... ...
- [과학뉴스] 공룡이야, 닭이야? 깃털 가진 소형 수각류 공룡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공룡에서 조류로 진화하는 과정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5월 2일자에 실렸다. doi:10.1038/ncomms1497 ... ...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됐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호모 날레디가 도구를 사용했을 가능성도 제시했다.연구 결과는 학술지 ‘이라이프’ 5월 9일자에 세 편의 논문으로 실렸다.doi:10.7554/eLife.24231, doi:10.7554/eLife.24232, doi:10.7554/eLife.2423 ... ...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치면 임신 24주 이전에 해당하는 태아 상태의 양이 인공자궁에서 건강하게 자랐다는 연구 결과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됐다. 미국 필라델피아아동병원 연구팀이 인공자궁을 만들어 양 태아를 최대 28일(678시간) 동안 자라게 한 것이다(doi:10.1038/ncomms15112).인공자궁은 밖에서도 안을 볼 수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갈색거저리 애벌레가 스티로폼을 만드는 폴리스티렌(PS)을 먹고 분해한다는 연구결과도 2015년 9월 ‘환경과학기술’에 공개했다. 갈색거저리 애벌레의 장에서 분리한 박테리아 배양액은 60일 동안 100mg의 PS 조각을 7.4mg 분해했다(doi:10.1021/acs.est.5b02663).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에 비하면 매우 적은 ... ...
- [Photo] 마법의 돌 ‘녹지 않는 얼음’ 석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의해 정밀도가 좌우되고 가격도 비싸지만, 석영 시계는 값도 싸면서 아주 정확하다.그 결과 기존 기술에 안주하고 방심했던 스위스의 시장 지배력이 상당한 위협을 받게 됐다. 이후 스와치 등을 중심으로 한 스위스의 시계제조사들도 석영 진동자 시계를 개발해 옛 영광을 되찾기는 했지만, 상당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많다. 한국산 천일염을 섭취했을 때 유해물질인 활성산소 발생량이 비교적 적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doi:10.1007/s10068-014-0128-y). 익숙해서 잘 몰랐던, 우리 곁의 좋은 소금무엇이 한국산 천일염을 특별하게 만드는 걸까. 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전남 신안군 증도의 염전지대를 찾았다. 증도에는 여의도 ... ...
- [Origin] 영국 쿼드람 인스티튜트 바이오사이언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쇼가 진행됐다.③ QIB는 건물을 새로지어 2018년 이전할 계획이다. 새로운 건물에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된다.식품과학의 모든 것을 연구한다QIB는 약 한 달 전인 4월 28일에 생겼습니다. 아마도 지금까지 소개한 연구소 가운데 가장 젊은 것 같은데요. 실은 1986년 1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발효를 잘 시켜야 하고, 발효 과정 동안 향긋한 성분과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내야 하며, 결과적으로 만들어진 빵을 부드럽고 촉촉하게 만들 수 있어야 한다.2011년, SPC 그룹은 30년 넘게 효모를 연구해온 서진호 교수팀과 손을 잡았다. 서 교수팀은 SPC 그룹에서 찾은 한국 토종 효모 1만여 종 가운데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비밀 훈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많이 먹으면 방귀 냄새가 고약해진다.한편, 방귀 냄새가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어요. 영국 엑세터대학교 연구팀은 방귀 냄새의 주원인인 황화수소가 세포 속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고 발표했어요.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속에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 ...
이전4624634644654664674684694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