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하늘 보며 쓰나미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미래의 쓰나미 조기경보시스템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4월 21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38/srep4660 ... ...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명, 임신하지 않은 여성 8명, 남성 10명, 지역의 보건전문가 15명 등을 심층 인터뷰했다. 그 결과 흔히 알려진 것처럼 임산부는 임신 기간 동안 다양한 흙을 많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런데 토식증이 꼭 임산부에만 국한되는 건 아니었다. 임신하지 않은 여성과 남성들도 흙을 먹고 있었다. 임산부와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가득했다. 이런 장비들을 이용해서 유약 성분의 종류와 구성비를 정량화하고, 그 결과로 완성된 도자기의 유약 색상과 결정 구조, 구성 성분 등을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도자기가 소성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반응들을 과학적으로 규명한다. 황 교수는 “현재 보관 중인 30만 개의 시편 데이터를 ... ...
- 세계 보건 위한 백신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국제백신연구소(IVI)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주요 원인이며, 인구밀도에 상관없이 어느 지역에서나 아동들이 주로 감염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이 연구를 주도한 국제백신연구소(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이하 IVI) 연구팀은 의학저널 ‘랜싯글로벌헬스’ 3월호에서 “아프리카 사하라사막 이남의 일부 지역에서는 살모넬라 타이피균과 iNTS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있습니다. 스위스 바젤대 연구팀은 Pax6를 초파리의 날개와 다리에 발현시켜봤습니다. 그 결과 Pax6의 하위 유전자들이 연이여 발현 되면서 날개와 다리에도 마침내 눈과 비슷한 구조가 만들어졌습니다(doi:10.1126/science.7892602). 이렇게 생긴 눈은 겉모습만 눈과 유사한 것이 아니라, 실제 눈에서 볼 수 ... ...
- [Career] 노벨상 꿈나무들, 인류의 미래를 연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구현해 그 과정과 결과를 겨루는 자리다. 본선 현장에서는 학생들이 각자의 연구 결과를 발표할 뿐만 아니라, 다른 팀의 연구에 대해서도 열띤 토론을 벌인다. 날카로운 질문을 얼마나 논리적으로 방어하는지 ‘창과 방패’의 싸움이다. 바이오 분야에 출전한 ‘연어 말고 돼지!’ 팀의 서하빈 학생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의대 공동연구팀이 영국과 미국, 덴마크의 보건자료를 입수해 분석했다. 그 결과 홍역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면서 홍역 발생(검정 그래프)이 줄어들자, 홍역이 아닌 다른 전염병에 걸려 사망한 소아의 숫자(빨간 그래프)도 줄어들었다. 반대로 홍역의 발생이 증가하면 홍역이 아닌 다른 전염병에 걸려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사람들이 집단면역에 대해 아는 것이 백신 접종률을 얼마나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가 실렸다. 독일 에르푸르트대 심리및감염병연구소 코넬리아 베슈 박사팀은 집단주의가강한 국가(한국과 인도, 홍콩, 베트남)와 개인주의가 강한 국가(미국, 네덜란드, 독일)로 나눠, 총 2107명에게 ...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풍동실험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며 빠른 시간에 결과를 알 수도 있다.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은 자동차뿐 아니라 배나 비행기, 공기나 물의 흐름과 관련 있는 현상에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평창 동계올림픽에 출전하는 스키점프 ... ...
- [과학뉴스] 형광을 내는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기관에서 형광 물질을 분비하는지 찾고, 이 물질의 구성 성분이 무엇인지 분석했어요. 그 결과 개구리의 림프 조직과 피부 등에서 ‘하일로인’이라는 형광 물질을 분비한다는 것을 밝혀냈지요.또, 연구팀은 하일로인이 많은 양의 빛을 방출한다는 것도 알아냈어요. 그래서 물방울무늬 청개구리는 ... ...
이전4594604614624634644654664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