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간의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천구상에서 몇 도 움직이며, 또 아주 미세하게 오차를 만드는 세차운동으로 인해 별의 위치가 10년에 몇 분이나 움직이는지를 알아냈던 것이다. 간의를 이용한 정밀한 관측을 바탕으로 천체운동의 정밀한 수치가 나올 수 있었고, 또 이를 바탕으로 우리 조상들은 당시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역법을 ... ...
- ③ 추론 : 주인 취향 맞춰 비서 노릇 척척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했다. 인간과 게임을 펼칠 때 인간이 두는 말의 위치를 기억하고, 어느 상황에서 자신이 유리하고 불리한지를 기억하는 프로그램이다. 게임이 많아질수록 그리고 고수와 만날수록 프로그램의 기량은 향상된다. 그 결과 얼마 되지 않아 주(state) 챔피언 수준까지 ... ...
- 10돌 맞은 월드와이드웹의 미래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웹브라우저에 보여주는 방식인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월와이드웹 문서의 위치 정보인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그리고 웹브라우저와 웹서버간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그들간의 공통언어인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와 같은 핵심 기반에서는 큰 변화가 ...
- 우리 역사 속의 군함과학동아 l2000년 06호
- 1층은 수군의 침실과 군량 무기 창고로 이용됐으며, 2층은 노군과 사부가, 3층은 포요원이 위치해 전투시 포와 활 그리고 기동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었던 군선이었다. 거북선의 크기는 박문수가 지적한 것처럼 포혈이 6개였던 것이 정조 때 8개로 증가돼 돌격선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됐고, 길이도 2 ... ...
- 인터넷과 휴대폰 최강국 핀란드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이용해 집에서 세금신고서를 제출하고 은행 업무를 본다. 집에 오는 딸은 휴대폰으로 위치정보 서비스를 받아 집으로 가는 버스 시간과 정거장에 도착하는 시간을 확인하고 버스를 기다린다. 이 모습은 인터넷과 휴대폰 보유율 세계 1위인 핀란드의 멀지 않은 미래이다.통신 강국의 비결핀란드는 ... ...
- 혜성을 어떻게 찾을까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이때 찍힌 별들은 이전에 찍혀진 하늘과 자동으로 겹쳐지면서 소행성과 혜성처럼 위치가 변하는 천체들과 밝기가 변한 별들을 자동으로 골라진다. 그 결과 1km 크기의 소행성이나 화성 궤도보다 더 먼 거리에 있는 어두운 혜성들이 2-3년 전에 비해 5배 이상이나 더 발견되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 ...
- 배꼽은 사람 몸을 황금분할한다.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아름답다고 한다.”이상적인 운동 선수의 인체를 보여주는 (그림 3)에서도 배꼽의 위치가 몸 전체를 황금분할하고 있다. 또 어깨 폭에 대한 팔 길이의 비도 황금비를 이룬다. ($\frac{CB}{AC}$, $\frac{AB}{CB}$, $\frac{bc}{ab}$ 는 황금비) 하지만 많은 사람이 이 말에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주변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② 역할놀이로 만나는 아리스토텔레스와 뉴턴과학동아 l2000년 05호
- 모든 물체는 흙, 공기, 물, 불의 4가지 원소로 구성돼 있고, 각각은 그것이 자연에서 위치하는 본래의 고향으로 돌아가려는 자연스러운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돌과 같이 흙으로 이루어진 물체가 땅으로 돌아가려는 운동을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운동이라는 말입니다.그렇기 때문에 땅위에 ... ...
- 망원경으로 엿본 은하마을과학동아 l2000년 05호
- 돌출돼 있는 것처럼 느껴질 것이다.다시 6번별로 돌아와 이번에는 북동쪽으로 약 2도 위치를 살펴보자. 여기에는 처녀자리 은하단 속에서 가장 큰 나선은하 M100이 있다. 사진에서 보듯이 은하는 Sc형의 정면나선은하이다. 나선팔의 두께는 3천 광년으로 우리은하의 2배에 달하며, 지름 11만 광년으로 ... ...
- 공룡 되살리기과학동아 l2000년 05호
- 학술지 게재공룡학자가 필히 행해야 할 다음 일은 각 공룡들이 계통발생학적으로 어디에 위치하느냐를 밝히는 일이다. 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각 공룡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명확히 알아내야 한다. 여기에서 뼈와 이빨의 특징을 비롯한 다양한 단서 모두가 판단의 근거로 작용한다. 이를 통해 ... ...
이전4684694704714724734744754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