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프톨레마이오스와 주전원 이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관측할 수 있었던 것들을 정확히 기술할 수 있었고,복잡한 계산에 의해 천체의 미래
위치
를 잘 예측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해보기 주전원실험예로든 그림은 지동설에 따라 태양 주위를 돌고 있는 화성의 움직임이다.지구처럼 화성도 태양 주위를 돌지만 둘 사이의 공전 주기가 달라 화성의 움직임은 ... ...
허준은 스승의 시신을 해부했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한의학은 결코 시체 해부를 필요로 하지 않았다. 한의학의 발전은 시체를 갈라 병이
위치
한 곳을 찾아내어 그곳을 집중해서 공략하는 근대서양의학과 완전히 다른 식으로 이루어졌다. 죽은 시체로부터 어떤 지식을 끄집어내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신체의 운용을 중시했다. 즉 몸 안팎의 균형과 ... ...
소를 사랑한 복제의 마이다스 손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체세포를 복제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아무리 반복해도 되지 않았지만 핵을 이식하는
위치
를 변경시키자 행운의 여신이 미소를 지었다.또 난자에서 핵을 제거할 때는 보통 음압을 사용한다.하지만 이 경우에는 세포가 손상된다.여기서도 황교수는 창의적인 방법을 도입했다.난자에 압력을 가해 ... ...
추진력과 성실성 갖춘 로봇축구의 대부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있는지를 모른다는 것이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장 위에 카메라를 설치해
위치
정보를 알려줬다. 그러면서 3차원 문제를 2차원으로 만들어 다이내믹하게 경기를 진행시켰다. 산너머 산이라고 했던가. 경기와 관련된 일을 하나씩 해결해 나갈 즈음 주변의 사람들이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 ...
만약 빛의 속도가 아주 느려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물체의 길이는 어떻게 측정해야 할까.답은 물체 양쪽끝의
위치
를 동시에 측정한 후 그
위치
의 차이를 구하면 된다.앞에서 설명하였듯이 동시성이라는 것이 서로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사람들에게는 항상 같지 않다는 것을 기억하면 서로 움직이는 관측자에게는 적어도 길이가 다를 것이라는 것을 ... ...
콩코드기 비둘기의 방향감각 상실시켜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이 소리를 듣지 못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비둘기는 몸 안에 지자기와 태양의
위치
로 방향을 알 수 있는 일종의 나침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나침반으로 일단 방향을 잡은 뒤에도 계속해서 가는 길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호그스트럼 박사에 따르면 이때 비둘기는 지상에서 ... ...
파라볼라 안테나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대화가 아무리 크더라도 반대편에서 이뤄지는 대화의 전달을 방해하지 않는다. 특정한
위치
들은 바로 포물선의 초점에 해당하는 두 지점이었다. 조각 방의 특별한 구조 때문에 양편이 포물선의 형태로 돼 있었고, 한쪽의 초점 부근에 있으면, 반대편 초점에서 이뤄지는 대화를 또렷하게 들을 수 ... ...
축구 오프사이드는 심판 보기 나름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축구 경기에서 공격수가 공을 패스받는 순간 수비수보다 수비팀 골라인에서 가까운
위치
에 있으면 오프사이드가 된다. 물론 양팀의 선수가 나란히 있을 경우는 오프사이드가 아니다.이번 연구에 따르면 잘못된 판정이 사람 눈의 한계로 어쩔 수 없이 벌어지는 경우가 상당수 있다. 경기장 안에서 ... ...
1. 태양계의 행성에 다다른 우주선들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하루에 이동한 각도이다.⑥ 우주선이 화성에 도착했을 때 화성과 지구의 상대적인
위치
는 256.62°- 180°= 76.62°만큼 지구가 화성의 앞에 있다.화성이나 행성탐사에서 꼭 위의 예와 같은 호먼 궤도를 이용하기란 쉽지 않다. 왜냐하면 탐사선을 발사할 시기와 비행시간을 꼭 2백60일에 맞출 수 없기 ... ...
제8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좋은 사진을 찍었으면서도 과거에 수상한 경력이 있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
에 있을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천체사진 공모전을 ‘사진 잘 찍기 경쟁’보다는 ‘우리나라 천문인들의 축제’로 만들고자 하는 천문연구원은 기존의 수상자보다는 새로운 공모자들에게 기회가 더 ... ...
이전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