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2. PC와 PC 연결하는 근
거리
통신망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가져오듯이 이더넷 카드를 사용한 컴퓨터 간의 자료 전송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거리
도 가깝고 자료전송만을 전담하는 인터페이스가 있기 때문에 자료의 고속전송은 문제될 것이 없다.그러나 문제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자료를 전송하려 했을 때 발생한다. 이더넷으로 연결된 ... ...
혼돈이론 응용 전자공학의 새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일종의 고기능소자라고 볼 수 있으나 지금까지의 뉴런모델은 아주 단순해 실제와
거리
가 멀었다. 따라서 혼돈 응답특성에 대한 설명이 불가능했던 것이다.필자의 연구실에서도 혼돈뉴런보드를 제작해 혼돈현상을 하드웨어적으로 관찰한 바 있다. 여러가지 특성을 고려한 2개의 CMOS와 피드백 저항을 ... ...
군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개발해 전술적 가치 외에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상륙함정은 원
거리
작전용으로 헬기를 탑재한 대형함을 활용하며 기습작전용으로 공기부양선과 같은 고속 소형함을 건조·운용해 상륙작전시 희생을 최소화하면서 작전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다.기뢰전함은 ... ...
컴퓨터 이용 극대화 꾀하는 네트워크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PC의 기능 향상으로 과거 대형기종에 의존해온 네트워킹에 변화가 일고 있다. 최근에 벌어지고 있는 컴퓨터 환경의 다운사이징 경향과 네트워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근
거리
통신망(LAN), 그리고 컴퓨터계 초미의 관심사인 윈도우NT와 펜티엄칩의 네트워킹 기능을 통해 변화를 살펴보도록 한다. ...
1. '공룡 IBM' 쓰러뜨린 개미군단 다운사이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개인용 컴퓨터 같은 소형 기종에 의한 분산처리환경인 다운사이징은 90년대 컴퓨터 환경의 새로운 조류를 형성하고 있다.공룡은 왜 지구상에서 사라졌을까? ... 만나게 된다. 이 교차점에 존재하는 것이 각각의 PC를 유기적으로 연결해내는 '근
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즉 랜(LAN)인 것이다 ... ...
너무 많이 아는 것?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아주 가는 유리 섬유를 사용하여 빛의 형태로 정보를 전달하는 광섬유기술은 이미 원
거리
전화선과 의학용 모니터에 사용되고 있다. 새로운 광자학은 정보를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인간의 능력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지도 모른다. 미국에 있는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 ... ...
'컴퓨터 식탁'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윈도우용 응용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사용 영역의 폭발적인 확대를 가능케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데이터베이스와는
거리
가 멀었던 사람들, 예를 들면 디자이너나 광고 편집자 등도 윈도우용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 다양한 그림이나 사진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입력해두고 간단한 검색명령으로 자신이 원하는 자료를 찾을 수 있을 ... ...
생물 - 눈, 직경 24㎜의 정교한 카메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다르다. 육식 동물은 일반적으로 눈이 얼굴의 앞에 붙어 있어 시야는 좁으나, 먹이와의
거리
를 잘 알 수 있으므로 겨냥을 하는데 도움이 된다. 반면 초식 동물은 눈이 얼굴 양쪽에 붙어 있어서, 뒤쪽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 둘레가 다 보일 만큼 시야가 넓어 적을 재빨리 발견할 수 있다.착각(착시)은 ... ...
우주의 나이 어떻게 재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운명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불행하게도 현재의 여러가지 관측적 제약과 은하들간의
거리
결정의 문제점 등으로 우리는 아직 어느 것이 맞는 것인지 말할 수 없다. 지난 1990년 NASA에서 쏘아올린 허블우주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이 계획한대로 금년말경 수리가 된다면 우리는 조만간 좀더 확실하게 ... ...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사진에는 쉽게 찍혀 나온다.■M39데네브에서 감마별까지의
거리
만큼 반대방향으로 망원경을 움직이면 아주 성긴 산개성단이 나타난다. 이것이 M39이다. 아주 큰 산개성단이므로 씽안경이나 망원경의 파인더로 관측하면 좋다. 이 지역은 워낙 별이 많은 곳이므로 차근차근이 ... ...
이전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