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항공에서 환경보호까지 세계 첨단기술 총집합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것도 포함된다. 우주공장 '테코스'의 경우 1995년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는데, 지구의 근
거리
궤도에서 의학 생물학적 약재와 반도체 결정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 약 8백만종의 악재를 싣고 발사될 날을 기다리고 있다.이밖에 불가리아 프랑스 체코 등이 함께 참여한 태양탐사계획 '포보스' 프로젝트 ... ...
임금님의 궁전을 보호하는 외각성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보지 못했다는 수성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소행성 세레스의 충태양으로 부터 평균
거리
2.77AU(천문단위), 평균지름 7백70m, 공전주기 4.6년, 최대밝기 7.4등급. 이것이 1801년 피아치에 의해 발견된 첫번째 소행성 세레스다.4대 소행성 중에서도 가장 먼저 발견되었다는 이유로 가장 잘 알려진 이 소행성이 ... ...
인체속 소금의 기능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소금물을 먹이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한편 소금의 섭취와 관련해 가장 큰 논란
거리
는 소금 섭취와 혈압의 상관관계를 둘러싼 것이다. 혈압을 조절하는 요인은 크게 자율신경계에 의한 조절과 신장에서 나오는 혈압조절 물질(renin)로 나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콩팥의 기능은 점차 ... ...
지구과학- 지층과 화석, 지구의 현재와 미래까지 알려준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50억년 전 현재의 태양 질량보다 큰 원시태양성운이 반경 약 10AU(1AU는 지구에서 태양간의
거리
) 정도로 흩어져 서서히 회전했다. 이 성운이 중력에 의해 중심으로 수축하게 됐고 이때 각 운동량이 보존돼 회전속도는 점차 빨라지게 됐다. 성운의 회전에 따라 원심력이 증가돼 성운은 원반형의 모습을 ... ...
우주감마선의 진원지는 중성자별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설이 설득력이 있지만(그만한 에너지가 전달되려면
거리
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 아주 먼
거리
의 퀘이사에서도 감마선 분출이 관측되는 것이 보고되기도 한다.우주공간에는 우리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감마선도 더욱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 아무튼 우주 감마선의 실체가 밝혀지면 우리의 에너지 ... ...
꼬리 프로펠러 없는 헬리콥터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시속 2백78km/시, 최대항속
거리
6백48km로, 원형이 된 MD500D에 비해 최고속도에서 20km/시, 항속
거리
에서 1백9km나 그 기능이 향상돼 있다.노터 헬리콥터가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는 바퀴식 이착륙장치를 장비한 중형기·대형기를 실용화해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가 목하 진 행중이다 ... ...
프랑스 첨단과학기술 6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시기에 아에로스파시알사는 영국 독일 스페인 네덜란드 및 벨기에와 공동으로 중단
거리
여객기인 에어버스를 개발해 1972년 시험비행에 성공하고 운행에 들어간 후 1993년 현재 미국 보잉사에 이어 세계 2위의 판매 실적을 올려 미국의 항공산업계를 초조하게 만들고 있다.특기할 만한 사실은 ... ...
태양계의 보석 행성 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가까이 다가오면 아마추어 천문가들은 흥분을 감추지 못한다. 반대로 같은 충이라도
거리
가 먼 접근을 소접근이라 한다. 대접근과 소접근이 발생하는 것은 화성의 궤도가 타원형이기 때문이다. 대접근시에는 화성의 모습을 최대로 크게 볼 수 있다.화성을 향해 망원경을 돌리는 순간 여러분은 조금 ... ...
'암기'와 완전결별 선언한 수학능력시험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학습효과가 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수능 대비 잡지가 다양한 읽을
거리
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지만 이를 통해 금방 수학능력이 향상된다고 착각해서는 안된다. 평소에 꾸준히 독서를 하고 사고력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며 수업 시간에 충실히 개념을 익히는 것이 첩경이다"고 ... ...
형태 색깔 등 분야별로 전문처리 네트워크 구성해 바깥세계 이해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손의 망막상은 순간순간 변하지만 뇌는 일관되게 그 망막상을 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거리
가 달라지면 시각대상의 망막상도 달라지지만 그래도 뇌는 그 대상의 진짜 크기를 알 수가 있다.이와 같이 뇌는 쉴새없이 변화하는 시각정보의 홍수 속에서 보편적인 시각대상의 특징을 추출해내고 있으며 ... ...
이전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