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과의
거리
는 4.249광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0.02 광년으로 측정됐었다.허블망원경은 92년 3월 이래 12회 이상의 관측을 실시해 정확한
거리
가 4.249±0.003광년인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 관측결과는 지금까지의 관측정밀도를 일거에 10배 이상 높인 것으로 평가된다 ... ...
세계 최대 어레이 전파 망원경 운영 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천㎞며, 북미 대륙에 산재해 하와이와 버진아일랜드에 기지를 두고 있다. 두 접시의 최대
거리
가 8천㎞라는 것은 한 대의 망원경에서 하늘에 떠 있는 같은 대상을 8천㎞를 건너서 볼 수 있다는 의미. 이 망원경에 의해 기록되는 전파 신호는 천체 이미지를 만들도록 소코로의 대형 컴퓨터로 보내진다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사진이 된다.카메라와 망원경을 조합카메라 렌즈만으로 천체사진을 촬영 하려면 초점
거리
가 너무 짧아서 천체의 세밀한 부분을 표현할 수 없다. 또한 집광력이 작으므로 어두운 별을 찍기 위해서는 긴 노출을 주어야 한다.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망원경의 대물렌즈 또는 반사경을 카메라와 ... ...
기후와 이산화탄소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한다.도시에 나무가 잘 심어져 있으면 냉방의 필요성이 좀 줄 것이다. 뉴욕의 도심
거리
주변에 비해 센트럴 파크는 확실히 더 시원하다. 산림기상학자인 고돈 하이슬러에 따르면 집이 나무로 둘러싸여 있을 때 냉방비의 약 10%가 절약될 수 있다고 한다. 시카고 도시·숲·기후 프로젝트의 일원인 ... ...
지구과학 - 우주의 중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틀리지 않다(그림 6).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 크기 측정종래 천체의 크기나
거리
등은 지구 크기의 배수로 흔히 표현됐으므로 태양과 달의 실제 크기를 알기 위해서는 지구의 실제 크기를 알 필요가 있었다. 이런 측정은 알렉산드리아의 도서관장이었던 에라토스테네스(Erattosthenes, 192-84 BC)에 의해 ... ...
(2) 판구조론 통해본 지구의 과거와 미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변이되는 것이 가능했다고 본다. 그러므로 11억년전 이전에도 비교적 짧은
거리
의 대륙판 이동과 섭입작용이 있었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여하간에 원생대 말기로 접어들면서 섭입 작용이 광범위해지고 지구는 현재와 같은 판 구조운동의 영역에 들어가게 된다.10억년전 경에는 북미, ... ...
(3) 방송통신위성 필요없고 난시청지역도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우주비행사와도 통신이 가능하다. 우주인을 찾는 SETI계획이 전파에 의존하는 것도 먼
거리
를 거침없이 달리는 전파의 성질 때문에 가능하다.그러나 전파가 잘 달리지 못하는 곳도 있다. 물이나 흙, 돌 등 장애물이 있으면 전파는 달리지 못한다. 진공이나 공기속은 거침없이 통과하나 앞에 물체가 ... ...
동물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음파를 연구했는데 이 동물이 발생시키는 주파수 20Hz짜리 음파가 약 1만8천㎞의 장
거리
해저여행을 한다는, 쉽사리 수긍하기 어려운 측정치를 얻어냈다. 그의 연구결과는 지느러미 고래의 유별난 습성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실마리가 되었다. 즉 그들은 매년 겨울철 서식지를 바꾸는데, 각자 따로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50억배나 되는 거대한 블랙홀이 존재한다고 예상되는데, 여기서 분출하는 제트는 4천광년
거리
에까지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관찰하면 블랙홀의 존재를 예언할 수 있다.[3] 호킹복사란 무엇인가70년대 중반 호킹은 블랙홀이 증발한다는 이론을 내놓았다. 그렇게 되면 블랙홀은 모든 것을 ... ...
흰꽃송이 반쪽만 물들이기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끝까지 색소가 올라오면 종이를 꺼내서 말립니다. 사진에서와 같이 각 색소는 서로 다른
거리
를 이동하면서 여러 색의 띠를 형성하지요. 여러 개의 다른 식물들을가지고 동일한 실험을 반복해 보세요.이 실험은 크로마토그래피(色層分析)의 대표적인 예인데, 크로마토그래피에 대해 좀더 자세한 ... ...
이전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