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3) 로봇원격조종 앉아서 심해·달 탐사 가능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인간과 비슷하게 움직일 수 있는 팔을 가진 원격 로봇(telerobot)이다. 이러한 로봇을 먼
거리
에서 조종함으로써 마치 자신이 직접 작업을 하는 듯한 착각이나 자신이 그곳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 같은 느낌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것을 원격임장, 혹은 원격 존재(telepresence)라 부른다. 이 말은 인공지능의 ... ...
세계 각국의 진기한 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것으로 짐작된다.중국에서는 일찍부터 연을 만들어 이를 다방면에 이용한 기록이 많다.
거리
를 측정하는 데도 이용했고 군사적으로도 이용했으며 통신용으로도 썼다. 당(唐)대에는 민간에서도 연날리기가 널리 성행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중국 연의 형태로는 용연 새연 나비연 등 동물연이 꼽힌다. ... ...
TGV, 탈선사고로 오히려 안전도 입증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정상제동
거리
는 약 2km. 일부 뒤쪽 차량이 선로를 벗어난 채로 열차는 심하게 덜컹
거리
면서 달렸다. 자갈들이 차창을 때렸다. 하얗게 질렸던 승객들은 정차 후 기관사에게 뜨거운 찬사를 보냈다.전문가들은 만약 급제동을 했더라면 차량들이 아코디온처럼 짜부라져 사상자가 날 뿐만 아니라 ... ...
마름모꼴 바퀴달린 화성탐사차 제작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지구로부터 원격조작보다는 자율적으로 상황을 판단해서 달리지 않으면 안된다. 너무
거리
가 멀어 화성과 지구 사이에 전파교신이 이루어지는 사이에 크레이터 구덩이에 빠져 허우적거릴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성탐사차는 장애물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심한 요철을 헤쳐나갈 수 있는 ... ...
빛의 밀도비 f수에 따른 망원경 선택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4가 된다. 카메라에서 f수를 변화시켜도 사진 찍히는 대상의 크기가 변하지 않으므로 초점
거리
가 변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위의 공식에서 f수가 2나 4정도로 커지기 위해서는 렌즈의 지름을 줄여야 한다.렌즈를 작은 것으로 바꿔 끼우지 못하므로 조리개를 이용하여 빛을 차단함으로써 렌즈의 ... ...
2. 카오스운동 지배하는 새로운 질서 '끌개'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접힘과정에 의해 초기의 미세한 차이가 크게 증폭되는 현상(예를 들어 처음에 분자
거리
만큼 떨어진 밀가루 알갱이가 1백번만 늘리고 접으면 우주의 양끝보다 멀어짐)을 초기조건에 대한 민감한 의존성이라고 한다. 즉 북경에서의 나비 한마리의 날개짓의 팔랑거림이 계속 증폭되어 오랜 시간이 ... ...
수치로 비교분석한 한국·일본 여대생의 평균 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수 있다.가장 중요한 자료로 삼을 만한 곳은 귓구멍에서 코 바로 밑까지의 투영적 직선
거리
(鼻下点放射徑)로서 호감이 덜가는 형에서 매우 작은 수치를 보이고 있고, 그 차이는 한국인에서 한층 두드러진다(그림 4, 표⑤). 한국인은 미소로 호감가는 인상을이상의 사실을 요약하면, 현대 한국의 ... ...
유·무선 단점보완한 레이저통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것이다. 지상에서와 달리 우주공간에서는 레이저가 흩어지지않고 수만㎞ 직진하므로 장
거리
통신수단으로도 손색이 없기 때문이다.레이저통신은 역사가 25년을 넘지만 이제 막 빛을 보고있는 단계다. 원산지인 미국에서도 80년대 후반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91년 미국의 레이저통신시장은 ... ...
동물잡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때 알을 까고 나오는 메닭이 5마리에 불과하다는 이야기이므로 사실 실용성과는
거리
가 멀다. 그러나 이같은 연구가 결실을 맺어 우리 연구실에서도 속간잡종이 생산되었다는 점에서는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세계 두번째로 '메닭'생산성공앞서 정일정박사도 지적했듯 이번 메닭 생산이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알아냄으로써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천문학자 제레미 모울드는 이 성운들의 정확한
거리
를 계산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그보다 작은 목표는 내년 7월에 20여개의 핵을 가진 슈메이커-레비 혜성이 목성에 충돌하는 장면을 촬영하는 것이다. 이 혜성의 핵 중에는 지름이 5㎞짜리도 있어 ... ...
이전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