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스페셜
"
교수
"(으)로 총 5,54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1953년 렘수면을 발표하고 1960년 기본휴식활동주기를 제안한 나다니엘 클라이트만
교수
는 1999년 104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그가 살아있을 때 이런 연구결과가 나왔다면 무척이나 기뻐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수면과학을 개척한 나다니엘 클라이트만
교수
(1895~1999)는 본인이 직접 피험자로 나서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대해 생각해본다. 2002년이 전성기 영국 런던대 신경과학자 파라네 바르가 카뎀
교수
팀은 심각한 언어장애를 보이는 구성원이 많은 가계(家系)에 주목했다. 이들은 청각과 지능은 정상이었음에도 말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가계 분석 결과 이 장애는 멘델의 법칙을 따르는 우성유전이고 남녀 ... ...
[팩트체크] 어설픈 과기계 캠코더 인사 의혹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맡도록 돼 있다. 그러나 바른미래당은 임춘택 에기평 원장(광주과학기술원 융합기술원
교수
)이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의 국민성장분과위원을 맡고 있다는 점을 들어 사업단 비상임 이사에 선임됐다고 주장했다. 임 원장은 “해당 직은 금전적 이익이 주어지는 직도 아니고 무엇보다 이사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수 있지 않았을까. 이 과정에서 리버먼
교수
나 ‘추천의 글’을 쓴 이화여대 최재천
교수
같은 통찰력이 있는 분들에게 자문을 구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팩트체크] 옥중단식·수사압박으로 알츠하이머병 걸릴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걸렸다’고 할 순 없다”고 잘라 말했다. 김지은 이화여대 뇌인지과학과
교수
도 “PTSD가 알츠하이머병을 악화시킬 순 있어도 유발한다고 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PTSD 환자들도 기억력 감퇴 등 인지기능 저하 증세를 보이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다. 재활과 치료를 통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이서구 박사(현 연세대 석좌
교수
)와 동료들이 처음 보고했다. 이번 결과는 이
교수
의 가설을 입증하는 또 다른 예인 셈이다. TCA 회로의 중간물질로만 알았던 숙신산(succinate)이 갈색지방조직(brown fat)에서 열생성 반응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동물실험으로 밝혀졌다. 추위로 몸을 떨 때(shivering) 나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것이다. 사람 유전자의 2%가 후각수용체 담당 1991년 미국 컬럼비아대 리처드 액설
교수
실험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던 린다 벅은 쥐의 게놈에서 후각수용체 유전자 무리를 발견했다. 그런데 그 숫자가 1000개가 넘는 것으로 추정돼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훗날 1400여 개로 밝혀졌고 그 가운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 사진 GIB 제공 건강 위해 한국인도 육류 섭취 줄여야 옥스퍼드대 찰스 고드프리
교수
등 저자들은 논문에서 상황이 이렇게 흘러가도록 방치할 수는 없다며 세 가지 측면에서 변화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소개하기에 앞서 무엇이 이런 급격한 육식의 증가를 불러왔는지 살펴보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필요한 유전자가 여럿 만들어졌다는(따라서 군체는 형성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킹
교수
팀의 연구결과와 일맥상통한다. 그리고 7가지 암 모두에서 단세포 유전자의 발현이 늘고 다세포 유전자의 발현이 줄었다. 테오도어 보베리의 주장대로 단세포성이라는 ‘고대의 표현형’이 드러난 것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日-中 빠진 '우리만의 리그'에서 아시아 과학 허브 한자리 차지?
동아사이언스
l
2018.07.01
실려 있다. 한국은 여기에서도 20%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와 김진수 서울대 화학부
교수
(둘 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이기도 하다)가 선정됐다. 국제 무대에서 인정 받고 있고, 대중적으로도 널리 알려진 과학자, 누구도 이견을 보이기는 어려운 전문가를 선정했다. ... ...
이전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