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스페셜
"
교수
"(으)로 총 5,54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담당 피질로 갈 뉴런이 넘어가 신호를 보낸 것이다. 이 논문을 읽는 순간 라마찬드란
교수
는 환상사지 환자에게서도 같은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아이디어가 떠올라 교통사고로 왼팔의 팔꿈치 아랫부분을 잃은 뒤 환상사지를 겪고 있는 남성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다음은 책에서 그 장면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깨달음이었다. 오스트리아 빈의 소아과의사 한스 아스페르거는 1944년 발표한 대학
교수
자격 논문에서 지능은 정상이나 타인의 감정과 의도를 읽어내는 능력이 결핍된 아이들의 사례를 보고했다. 아스페르거가 한 어린이에게 심리테스트를 하는 모습이다. 아스페르거가 74세로 사망하고 1년이 ... ...
북미 정상 '한반도 비핵화'합의, 핵 시설 폐기 절차 어떻게?
2018.06.12
환경 오염 여부를 더 상세히 조사할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권혁철 국민대 정치대학원
교수
에 따르면 핵시설과 핵무기를 이전하고 해체하는 데 5조37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경제적 지원과 핵 폐기 보상 청구서를 감안하면 해체 비용은 약 21조 원으로 늘어난다. 해체 비용은 북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설명하고 있다. 한편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심리학과 매튜 워커(Matthew Walker)
교수
는 지난해 펴낸 책 ‘Why we sleep(우리는 왜 잠을 자나)’에서 수면 메커니즘을 그래프로 보여주면서 카페인의 영향력을 설명했다. 카페인은 양날의 검이다. 잘 쓰면 낮에 활동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만 잘 못 쓰면 ... ...
북한 교과서에서 ‘미제승냥이’ 빠진다
수학동아
l
2018.06.06
힘들다. 북한 수학 교육에 대해 꾸준히 연구해온 이정행 미국 나약대학교 수학과
교수
는 “북한 수학 교과서에 나온 반미 내용을 어떻게 수정할 것인지가 북한이 현재 떠안은 숙제”라고 말했다. *출처 : 수학동아 2018년 6월호 '수학으로 남북통일은 가능할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못할지라도 그렇게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옛날 같았으면 ‘그래도 의사이고 대학
교수
인데 이런 말을 하다니 너무하다’라고 생각했을 텐데 필자 역시 밀가루 음식 섭취를 확 줄이고 나서 어쨌든 비염이 사라져 삶의 질이 높아지다 보니 수긍이 간다. 고통받는 환자에게는 그 메커니즘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
2018.05.08
느끼는 것일까. ‘사이언스’ 같은 호에 해설을 쓴 미국 듀크대의 요르크 그란델
교수
는 가려운 곳을 긁는 물리적 자극이 메르켈 세포의 억제신호를 증폭해 가려움 활성신호를 압도한 결과라고 설명한다. 다만 메르켈 세포가 적을 경우 더 세게 오래 긁어야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고 따라서 ... ...
우리가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인 이유, 뇌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사회적 유대감과 소통 능력이 큰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오기하라
교수
팀의 연구는 이 같은 가설을 뒷받침 할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의 색채가 짙어 내키지 않았다. 명상에만 오롯이 집중할 수 있는 곳이 생길 때까지는 장
교수
의 CD에 계속 의지해야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관찰을 기반으로 한 실험물리학이 붐이었다. 사진은 1965년 조지프 웨버 미국 메릴랜드대
교수
가 커다란 알루미늄 안테나를 이용해 중력파 검출 연구를 하는 모습 - 메릴랜드대 제공 이를 입증하기 위해 호킹이 주목했던 건 이론물리학자인 로저 펜로즈가 증명한 특이점(singularity) 이론이었다. ... ...
이전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