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교수"(으)로 총 5,5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속보] 영국의 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별세동아사이언스 l2018.03.14
- 우주론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79년부터 2009년까지 케임브리지대 루커스 수학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물리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기초물리학상’을 비롯해 ‘알버트 아인슈타인 어워드’ ‘코플리 메달’ 등 수많은 상을 받았지만, 아쉽게도 노벨 물리학상을 받지는 못했다. 한편 그가 1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 기억이여)’로 제목을 바꾼 개정증보판을 내놓았다. 1948년 코넬대 러시아와 유럽문학 교수가 되면서 나보코프는 인시류 연구에서 손을 놓았는데 훗날 “나는 과학 연구와 강의, 순수문학 그리고 ‘롤리타’를 더 이상 체력적으로 병행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고 회상했다. 그의 대표작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미투의 외침 나오는 이유? 성폭력 권하는 사회 2018.03.03
- 학생을 동석시켜 수발을 들게 했던 교수와 그 교수의 잘못을 덮으려 함께 애썼다던 동료 교수 등. 가해자에게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고 늘 피해자만 조용히 사라지곤 했다. GIB 제공 더 놀라웠던 것은 적지 않은 사람들이 이런 사실을 알고 있었고, 그럼에도 아무 것도 변하지 않더라는 것이었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최초의 네안데르탈인 벽화 발견, 그리고 그 이후동아사이언스 l2018.02.25
- (네안데르탈인이 살던 시대인) 중기구석기에 이미 등장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다만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 사이에는 ‘인지적 유동성’이라는 능력에 차이가 있다는 이론이 있다”며 “인지적 유동성의 핵심은 기존 소재나 규칙 등을 가지고 새롭게 조합하는 능력인 창조성인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2018.02.20
- 사회의과학과 데이비드 존스 교수와 뉴욕시립대 공중보건학부 제럴드 오펜하이머 교수다. 이들은 “아주 강력한 증거가 없는 상태에서 연구와 정책의 불가피한 우여곡절을 악의적인 각본과 역사적 탈선의 산물로 해석하는 것은 심각한 위험”이라며 “과학자처럼 역사학자도 증거에 초점을 맞춰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2018.02.13
- 이영석 교수팀과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 분자세포발생생물학과 크레이그 몬텔 교수팀은 초파리가 고농도 칼슘을 거부하는 행동을 할 때 관여하는 미각수용체뉴런과 칼슘맛 수용체의 실체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연구자들은 그냥 설탕물과 다양한 농도로 염화칼슘이 들어있는 설탕물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2018.02.06
- 길 것으로 보인다. 미국 LA 캘리포니아대 히람 벨트란-산체스 교수와 남가주대 칼렙 핀치 교수는 같은 학술지에 실은 해설에서 데이터를 다른 관점에서 해석해 벌거숭이두더지쥐의 주기가 115년은 될 것으로 추정했다. 사람의 8년에 비하면 어마어마하게 긴 기간이다. 구글(칼리코)의 계획대로 ... ...
- 강력한 폭발 전력 백두산...남북 공동 연구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2018.02.01
-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28년 간 백두산을 연구했던 윤성효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 역시 “일제 때 잘못 측정된 백두산 높이를 여전히 사실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이처럼 우리는 백두산에 대해 너무 모른다”며 “과거 여러 차례에 걸쳐 북한이 백두산 연구를 제안한 바 있는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2018.01.23
- ‘청바지 인류학’이라는 책에서 로베르타 사사텔리 이탈리아 밀라노대 사회학과 교수는 “다른 의복과 달리 청바지 표면의 반복 착용과 색 바랜 흔적 속에 숨은 시간은 일종의 부가가치로 여겨진다”고 쓰고 있다. 전통 청바지는 인디고로 염색한 데님이라는 면 소재 직물로 만든다(왼쪽). ... ...
- [표지로 읽는 과학]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RNA 중합 효소의 모습동아사이언스 l2018.01.21
- 극저온전자현미경은 2017년 노벨화학상의 주인공이다. 자크 뒤보쉐 스위스 로잔공대 교수, 요아킴 프랭크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 리처드 헨더스 영국 분자생물학MRC실험실 프로그램 리더가 극저온전자현미경을 개발하고 발전시킨 공로로 수상했다. ☞ Alessandro Vannini(2017), Structural basis of RNA polymerase ... ...
이전477478479480481482483484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