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스페셜
"
교수
"(으)로 총 5,54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큰 기생충은 처음 봤다”며 의아해했다. 이에 대해 기생충학자인 단국대 의대 서민
교수
는 “27㎝짜리 회충은 보통 크기”라며 별일 아니라고 촌평했다. 바꿔 말하면 우리나라 사람의 몸에서 회충 같은 기생충이 없어진지 하도 오래됐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고서는 의사들도 본 적이 없다는 말이다. ... ...
북아메리카 비둘기가 멸종한 원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연구팀은 여행비둘기의 많은 개체수가 빠른 멸종의 위험성을 높였다고 주장했다. 샤피로
교수
는 “여행비둘기들은 처음엔 환경에 신속하게 적응하고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했다”며 “하지만 모든 개체가 유전적으로 유사하게 되어 인간이나 환경의 위협 같은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기 어려웠을 ... ...
독일 소년은 어떻게 희귀 피부병을 고쳤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유전자 조작을 통한 맞춤형 줄기세포 치료를 실증했다는 점에 의미가 크다. 하지만 루카
교수
는 “EB는 여러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유발되며, 이번 치료는 그 중 LAMB3 유전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것”이라며 “향후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와 같은 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해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모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역시 큰 화제가 됐는데 행동경제학을 개척한 공로로 수상한 미국 시카고대 리처드 탈러
교수
가 베스트셀러 ‘넛지’(2008)의 저자이기 때문이다(하버드대 캐스 선스타인과 공저). 2009년 번역 출간된 ‘넛지’는 우리나라에서도 베스트셀러가 됐는데 당시 필자는 왠지 처세술을 다뤘을 것 같아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받아 생겨날 수 있다고 합니다. 미국 뉴욕의 클락슨대학 토목 환경공학과 셰인 로저스
교수
는 불가사의한 경험과 곰팡이 포자의 환각 유발 효과 사이의 관계를 관찰했습니다. 통풍이 안 되고 공기 질이 좋지 않은 오래된 낡은 건물에서 주로 유령이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데요. 기존에 ... ...
아프리카인 피부색 결정 유전자 확인
과학동아
l
2017.10.30
멜라네시아인과 남부아시아 원주민에서도 이 유전자 변이를 확인했다. 티시코프
교수
는 “멜라네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그리고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 일부 민족의 피부색이 왜 비슷한지가 오랫동안 수수께끼였다”며 “일부 사람들은 이런 유사성이 적응의 결과로 나타난 ‘수렴 진화’ ... ...
심장 세포가 심장만 만들 수 있는 이유를 찾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7.10.15
밝혀냈습니다. 알렉시스 배틀 미국 존홉킨스대
교수
와 스테판 몽고메리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각 조직에 맞는 유전자가 발현되도록 하는 조직 특이적 돌연변이에 대해 조사4)했습니다. 나머지 두 논문은 RNA 편집 과정2)과 X염색체 비활성화3)를 조절할 수 있는지 연구했습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않자 연구비를 대는 미국립과학재단(NSF)이 해결책을 촉구했고 결국 칼텍의 로커스 보트
교수
를 초대 소장으로 영입해 1987년 라이고 프로젝트가 출범했다. 바이스는 부고에서 드레버가 라이고의 개념을 확립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고 인정하면서도 글 말미에 두 사람 사이가 얼마나 험악했는지를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이 성분들이 모두 포함돼 있다는 것이다. 윤성효 부산대 지구물리학과
교수
는 “자오
교수
가 밝힌 해양지각판의 섭입 위치처럼 지구물리학적 증거는 그의 가설을 잘 뒷받침하지만 지구화학적 데이터는 일치하지 않는다”면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가설이지만 이를 수정하거나 다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
2017.09.26
자신의 과제를 해결하는데 적용한다. 이 연구결과에 대해 메릴랜드대의 루카스 버틀러
교수
는 같은 호에 실린 해설에서 “어른과 아이들은 물론 심지어 아기에서조차 끈기는 단순히 유전되는 성격 특성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사회적 맥락에 기반함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자녀가 성공적인 삶을 ... ...
이전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