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밸브
판막
틀
팬더
팬더곰
판다곰
테
뉴스
"
판
"(으)로 총 1,024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부맨틀 활발한 움직임 발견…지구 빠른 냉각속도 증명
연합뉴스
l
2019.03.27
S파 속도가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이방성을 띤다는 것은 하부맨틀이 하강하는 해양
판
과 충돌해 강하게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맨틀에서 강한 움직임 대부분은 깊이 660㎞까지의 상부맨틀에 존재하며, 하부맨틀에 있는 암석은 지구 핵에 도달할 때까지 아주 느리게 움직인다는 기존 학설과 ... ...
[프리미엄 리포트] 청소년 자해, 스스로를 벌주는 아이들
과학동아
l
2019.03.23
증가 추세”라고 지적했다. 2013년 미국정신의학회는 ‘정신질환진단 및 통계편람 제5
판
(DSM-5)’에서 ‘비자살성 자해’를 새롭게 규정하기도 했다. 그만큼 국내외적으로 자해에 대한 문제의식이 높다는 뜻이다. 자살과 자해는 다르다. 흔히 사람들은 자해하는 모든 이가 자살하고 싶어 한다고 ... ...
대한지질학회, 학술적 이견 불구 "포항지진은 촉발지진" 공식화 문제 없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고 설명했다. 지질학회는 이날 지열발전을 위해 실증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판
구멍 2개를 통해 주입된 물이 주변 단층에 압력을 가해 남서방향으로 미소지진을 순차적으로 유발했다고 결론을 내렸다. 두 개 구멍 PX-1d와 PX-2을 이용한 결과 굴착 과정에서 누출된 물과 PX-2를 통해 높은 압력으로 ... ...
반도체 나노막대 사용해 빛 손실 문제 해결한 초박막 편광필름 제작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면적에 걸쳐 88%의 정렬도로 초박막 필름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
판
으로 사용된 공기-용액 계면을 용액 증발과 함께 제거할 수 있고 조립 면적에 제한이 없어 소자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다”고 “고배열, 고배향을 갖는 다양한 나노입자의 초박막 필름 제작 및 필름 소자에 ... ...
제23회 한국공학한림원 대상에 이상엽 KA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3.18
성과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김종희 수석연구원은 수소전기차 연료전지 금속분리
판
용 스테인리스강을 만들고 제조공정 기술을 개발해 에너지 및 친환경 자동차 산업 경쟁력을 높였다. 채찬병 특훈교수는 5G와 6G 통신의 핵심인 전이중 밀리미터파 햅틱 전송기술 등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 받았다. ... ...
꿈의 물질 그래핀 생산 '양과 질' 두 마리 토끼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어려웠다. 반면 이번 연구에서 얻은 그래핀은 전기적 특성을 갖지 않는 비정질 기
판
에 키워 옮기기도 쉬워졌다. 안 교수는 “그래핀을 포함한 다양한 단결정 성장 방법론 개발에서 근본적 한계를 극복한 것”이라며 “전이가 쉬운 그래핀을 이용하면 그래핀의 질이 중요한 후속연구가 쉬워질 ... ...
'무분별한 음식 먹방' 어린이 건강 망친다…국제학술지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피자 한
판
을 다시 끝장낸다. 최근 유튜브에서는 이런 모습을 보여주는 '폭식의 끝
판
왕'들이 스타로 떠올랐다. 그런데 이런 '먹방' 유튜브가 어린이의 식습관과 건강을 해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리버풀대 심리학과 연구팀은 유튜브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건강에 해로운 ... ...
조기출산 신생아 생체정보, 무선으로 모니터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1
cm 크기의 넓은
판
형태의 기기로 바로 전송된다. 거꾸로 센서를 움직이기 위한 전류는 이
판
에서 센서로 무선 전송된다. 논문 공동 제1저자인 정하욱 연구원은 기자와의 전화 통화에서 “NFC는 통신거리가 짧고 주고받는 정보의 양이나 속도가 제한적이라 의료신호 통신에 이용되지 않았지만, 오히려 ... ...
극지연구 ‘원석’에 KIST 기술 접목해 ‘황금’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2
과학 연구가 가능한 10kg 미만급 휴대용 극지 과학임무 로봇을 개발한다. 이 밖에
판
철호 KIST 천연물인포매틱스연구센터 책임연구원과 김상희 극지연구소 극지생명과학연구부 책임연구원은 ‘극지 미세조류 유래 유용물질 탐색 및 대량배양’ 연구로 극지 미세조류로부터 유용한 물질을 찾아내는 ... ...
양자역학이 지배하는 ‘나노세계 힘’ 측정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분석하는 기술을 이용했다. 먼저 0.4㎜의 간격으로 0.01~0.2㎜까지 다양한 두께의 사각형
판
을 마치 도미노처럼 연이어 세워 울퉁불퉁한 표면을 흉내냈다. 그 뒤 헬륨 원자를 강하고 빠르게 쏘았다. 이 때 기존의 대부분의 물질 측정 기술과 달리, 물질 표면에 수직이 아니라 거의 표면과 수직이 되게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