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밸브
판막
틀
팬더
팬더곰
판다곰
테
뉴스
"
판
"(으)로 총 1,051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코딩 교육, 과연 필요한가?
2019.01.21
말하는 NP 문제(Non-Deterministic Polynomial Time Problem)다. 쉽게 말해 어려운 문제란 것이다.
판
단은 잠시 유보하고자 한다. 대신 일종의 실험을 해보고자 한다. 대상은 나의 딸, 그리고 나 자신이다. 언제까지 지속할지 예측할 수 없다. 아이가 원하지 않을 경우도 있을 것이다. 비록 4차 산업 혁명의 창의력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한탄하고 있다. 침팬지는 정적인 생활 해도 건강 그런데 만일 저자가 이 책의 2
판
을 준비하고 있다면 한 장(chapter)을 더해야 할 것 같다. 상당한 수준의 신체 활동인 운동을 해야 심신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것도 어찌 보면 ‘우리 몸 오류’이기 때문이다. 정적인 생활을 하는 사람이 하루 ... ...
파도 조건 상관없이 24시간 파력발전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7
이중 변환장치는 파랑의 원운동을 이용하는 원통형 실린더와 직선운동을 하는 스윙
판
중 변하는 해양환경에 따라 매 순간 발전효율이 높은 방식을 택해 발전기를 작동시키는 장치다. 박 연구원은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전기, 가솔린 중 선택적으로 동력원을 사용해 효율성을 높이는 것과 비슷한 ... ...
[인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동아사이언스
l
2018.12.31
양중석 △ 천연물소재연구센터장 정상훈 △ 천연물인포매틱스연구센터장
판
철호 △ 강릉분원 중소기업지원센터장 이창근 ◇KIST전북분원 전북분원 중소기업지원센터장 강대신 전북분원 연구지원부장 ... ...
화성 향한 전기차부터 마지막 북부흰코뿔소의 최후까지…올해의 과학 이미지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2등을 차지했다. 거대 게놈.- J. Abrahão 제공 아메바에서 새로이 발견된 거대 투
판
바이러스(Tupanvirus)는 유전자 중 가장 긴 꼬리를 가지고 있다. 바이러스의 단백질 생성에 관련된 가장 많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워밍업.-마리우스 바겐스 빌랜저 제공 북극에서 축구를 하는 것은 위험하다. ... ...
美연구진 태양열로 깨끗한 물 만드는 기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2
문제가 있다. 연구진은 장치 바닥에 열 방출성이 높은 페인트를 칠한 폴리에터이미드
판
을 깔아 장치 아래쪽으로 열이 빠져나가게 했다. 장치 아래쪽으로 물이 흐르도록 하고 열을 흡수해 증기로 빠져 나가게 만들었다. 이 장치는 맑은 날을 가정해 진행한 실험에 최대 122도까지 가열된 ... ...
[표지로 읽는 과학] 혈액줄기세포의 안내자 대식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8.12.09
HSPC가 혈액세포를 생성하는 동안 틈 내부에 잘 보존되도록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
교수는 “건강한 혈액세포 생성은 생명체 수명에 중요한 요소로, 노화 연구에 새로운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한파를 이기는 법, 우리 마음은 이미 알고 있다
2018.12.08
일입니다. 물론 우리는 기나긴 빙하기의 추위에 웅크리지 않고, 동장군의 멱살을 잡고 한
판
대결을 벌인 용감한 인류의 후손입니다. 인간의 유전자와 문화에 깊이 새겨져 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는 아래에 적은 심리적 조언도, 오랜 지식이라는 솜털이 가득 들어간 정신적 방한복이라고 할 수 ... ...
코로 들이마신 미세먼지, 60%가 폐에 쌓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말했다. 연구 결과는 11월 26일 국제학술지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스’에 온라인
판
에 발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미세먼지와 방사성동위원소를 화학적으로 결합해 표시하는 방법으로 체내로 들어온 미세먼지를 추적하는 영상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한국원자력연구원 ... ...
항암제 내성 막는 ‘암 줄기세포’ 연구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KAIST 연구진은 암 줄기세포를 세포덩어리 형태인 ‘스페로이드’로 형성해 배양하는데 성공했다. KAIST 제공 암을 치료할 때 가장 골치 아픈 부분은 시간이 지날수록 암세포가 항 ... 미국 암학회(AACR)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인 ‘암 연구(Cancer Research)’ 10월 24일자 온라인
판
에 게재됐다.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