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밸브
판막
틀
팬더
팬더곰
판다곰
테
뉴스
"
판
"(으)로 총 1,051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나노막대 사용해 빛 손실 문제 해결한 초박막 편광필름 제작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면적에 걸쳐 88%의 정렬도로 초박막 필름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
판
으로 사용된 공기-용액 계면을 용액 증발과 함께 제거할 수 있고 조립 면적에 제한이 없어 소자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다”고 “고배열, 고배향을 갖는 다양한 나노입자의 초박막 필름 제작 및 필름 소자에 ... ...
제23회 한국공학한림원 대상에 이상엽 KA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3.18
성과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김종희 수석연구원은 수소전기차 연료전지 금속분리
판
용 스테인리스강을 만들고 제조공정 기술을 개발해 에너지 및 친환경 자동차 산업 경쟁력을 높였다. 채찬병 특훈교수는 5G와 6G 통신의 핵심인 전이중 밀리미터파 햅틱 전송기술 등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 받았다. ... ...
꿈의 물질 그래핀 생산 '양과 질' 두 마리 토끼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어려웠다. 반면 이번 연구에서 얻은 그래핀은 전기적 특성을 갖지 않는 비정질 기
판
에 키워 옮기기도 쉬워졌다. 안 교수는 “그래핀을 포함한 다양한 단결정 성장 방법론 개발에서 근본적 한계를 극복한 것”이라며 “전이가 쉬운 그래핀을 이용하면 그래핀의 질이 중요한 후속연구가 쉬워질 ... ...
'무분별한 음식 먹방' 어린이 건강 망친다…국제학술지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피자 한
판
을 다시 끝장낸다. 최근 유튜브에서는 이런 모습을 보여주는 '폭식의 끝
판
왕'들이 스타로 떠올랐다. 그런데 이런 '먹방' 유튜브가 어린이의 식습관과 건강을 해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리버풀대 심리학과 연구팀은 유튜브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건강에 해로운 ... ...
조기출산 신생아 생체정보, 무선으로 모니터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1
cm 크기의 넓은
판
형태의 기기로 바로 전송된다. 거꾸로 센서를 움직이기 위한 전류는 이
판
에서 센서로 무선 전송된다. 논문 공동 제1저자인 정하욱 연구원은 기자와의 전화 통화에서 “NFC는 통신거리가 짧고 주고받는 정보의 양이나 속도가 제한적이라 의료신호 통신에 이용되지 않았지만, 오히려 ... ...
극지연구 ‘원석’에 KIST 기술 접목해 ‘황금’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2
과학 연구가 가능한 10kg 미만급 휴대용 극지 과학임무 로봇을 개발한다. 이 밖에
판
철호 KIST 천연물인포매틱스연구센터 책임연구원과 김상희 극지연구소 극지생명과학연구부 책임연구원은 ‘극지 미세조류 유래 유용물질 탐색 및 대량배양’ 연구로 극지 미세조류로부터 유용한 물질을 찾아내는 ... ...
양자역학이 지배하는 ‘나노세계 힘’ 측정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분석하는 기술을 이용했다. 먼저 0.4㎜의 간격으로 0.01~0.2㎜까지 다양한 두께의 사각형
판
을 마치 도미노처럼 연이어 세워 울퉁불퉁한 표면을 흉내냈다. 그 뒤 헬륨 원자를 강하고 빠르게 쏘았다. 이 때 기존의 대부분의 물질 측정 기술과 달리, 물질 표면에 수직이 아니라 거의 표면과 수직이 되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세포핵을 쉽게 늘릴 수 있는 젊을 때 근력운동을 게을리한 대가인 셈이다. 근육
판
‘개미와 베짱이’라고 할까. 기존 근핵영역가설에 따르면 근력운동으로 근육을 자극하면 위성세포(satellite cell)가 분열해 근섬유(근육세포)에 융합되며 세포핵을 공급해 근섬유가 굵어지고 운동을 끊으면 세포핵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안데스 산맥은 어떻게 지구상 가장 긴 산맥이 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1.27
세계에서 가장 길게 뻗을 수 있었던 이유를 설명해 준다”며 “안데스 산맥이 나즈카
판
과 하부 맨틀 사이의 상호작용 결과인 만큼 이런 상호작용이 앞으로도 지속된다면 산맥이 더 높아지거나 더 길어질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
근육세포 울퉁불퉁한 표면에서 잘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54, 200㎚ 홈에서 0.86, 1600㎚ 홈에서 0.91로 높아졌다. 연구팀은 전자현미경으로 세포가 배양
판
에 달라붙은 모습을 관찰했더니 200㎚ 홈 위에서는 세포가 홈 위에 자라지 못하고 홈 아래로 꺼진 반면 1600㎚ 홈 위에서는 홈 위에 자신을 고정하며 자란 것을 확인해 1600㎚의 두께가 있어야 세포가 스스로를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