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뉴스
"
곳
"(으)로 총 8,702건 검색되었습니다.
33만명의 '동심'에 과학을 심었다…개관 1년 맞은 국립어린이과학관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기계장치들이 방 안을 가득 메웠다. 공이 높은
곳
에서 다양한 기계적 요소를 따라 낮은
곳
으로 내려가면서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뀌는 과학 원리를 익힐 수 있도록 설계됐다. ‘쥬스야 변해라 얍!’ ‘도와줘요 자석맨’ ‘나는야 동물박사’ 등 다양한 주제로 과학실험을 하는 그룹 체험 ... ...
[여기에 과학]토끼 유전자로 식물 공기정화 능력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있는 공기를 빨아들이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집전체의 대기를 정화하려면 식물을 여러
곳
에 설치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연구진은 다른 유해 물질까지 폭넓게 분해하는 단백질 분자를 생성하는 식물을 개발하기 위해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식물이라는 바이오 필터만으로 깨끗한 ... ...
개미떼처럼 스스로 무리를 이루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했다. 외부 충격에도 강했다. 돌출 부위를 끊어내면 돌출 부위가 다시 자라거나 다른
곳
에서 새로운 돌출 부위를 만들어냈다. 군집을 반으로 갈랐을 때도 다시 모여들며 군집을 복구했다. 샤프 교수는 “수천 개의 로봇이 재난 현장에 따라 모양을 바꾸거나 개미들처럼 3차원 구조의 임시 ... ...
“미래 대비한 창의적 인재 키우자” 국립중앙과학관 ‘미래기술관’ 개관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변화상을 이해하고, 제4차 산업혁명이 변화시킬 미래생활공간을 보여주는
곳
이다. 이를 통해 불확실한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미래인재를 육성한다는 게 목표다. 미래기술관 1층에서는 '과학기술의 혁명'을 주제로 1~3차 산업혁명과 기술의 역사가 펼쳐지고 제4차 산업혁명이 ... ...
“VR 아바타가 내 표정이랑 똑같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말했다. 이 기술은 응용 가능성이 높은 데다 세계적으로도 아직 상용화에 성공한
곳
이 없어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으로 선정돼 지원을 받고 있다. 임 교수는 “내년에는 딥러닝을 활용해 좀 더 자연스러운 얼굴 표정을 재현하는 방법을 추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https://youtu.be/KLhR6EVkGOM 임창환 ... ...
인터넷 공간 알고 보니 소수가 독점한 세상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교환의 장으로 인식되던 온라인 환경이 실은 소수가 쉽게 여론을 독점할 수 있는 취약한
곳
이라는 사실이 국내 연구팀의 연구로 밝혀졌다. 가짜 뉴스나 여론 조작이 자주 발생하는 이유도 이런 취약점에서 찾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윤진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미래기술분석센터 ... ...
'어디서부터가 우주일까' 우주 경계 "고도 기준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우주라고 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지구 대기의 영향이 지구 중력의 영향보다 약해지는
곳
부터를 우주로 보고 있다. 대기가 희박해 양력을 만들 수 없어 항공기가 날 수 없고 궤도를 일정 높이로 유지할 수 있는 위치가 우주의 경계라는 것이다. 조너선 맥도웰 미국 하버드대 천체물리학 교수는 ... ...
2018년 네이처 선정 10대 인물에 그래핀 초전도체 개발한 22세 청년
2018.12.19
플랜S에 서명한 유럽연구위원회(ERC)을 포함해 유럽과 미국의 연구비 지원재단 16
곳
의 자금을 지원 받은 결과물은 2020년까지 모든 사람이 무료로 자유롭게 볼 수 있는 오픈 액세스 학술지에 투고해야 한다. 요시카와 마코토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임무책임자는 올해 최고의 우주 이벤트로 ... ...
도심 고층건물벽 숲으로 바꿔 미세먼지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미세먼지를 조기에 지역별로 좀더 정확히 예측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도시
곳곳
에 미세먼지 관측망을 설치할 수 없기에 모델을 이용해 예측한다. 알리 레자 호나바르 이란 시라즈대 컴퓨터과학공학및정보기술학과 교수팀은 직접 미세먼지 측정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여러 종류의 다른 ... ...
태양에서 가장 먼 핑크색 왜소행성 '파아웃'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발표했다. 연구진은 해당 천체에 2018 VG18라는 명칭을 임시로 지정받았다. 태양과 가장 먼
곳
에서 발견됐다는 의미로 파아웃이라는 별칭도 주어졌다.이 연구진은 앞서 지난 10월 ‘고블린(Goblin)’이라는 왜소행성을 발견하기도 했다. 왜소행성은 2006년 IAU에서 태양계 행성 분류법을 개정하면서 ... ...
이전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