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뉴스
"
곳
"(으)로 총 8,70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하에서 화성 생명체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최고 기록은 지하 5㎞ 깊이다. 해수면을 기준으로 하면 10.5㎞ 밑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이
곳
의 압력은 대기압의 400배에 이른다. 물이 끓는 온도 이상의 고온에도 견디는 미생물도 있다. 지각 속 열이 뿜어져 나오는 해저 열수공에서 발견된 ‘스트레인 121’이라는 미생물은 연구실에서 실험해 본 ... ...
‘제2의 바이오벤처 붐’ 온다…3년간 설립된 벤처수 역대 최고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늘어난 셈이다. 에이비엘바이오 등 예비심사를 승인받아 이달 코스닥 입성을 앞둔
곳
까지 합하면 더 많아진다. 다만 바이오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정부 연구개발(R&D) 지원 규모는 최근 5년간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지원하는 연구과제 수는 2012년 1811개에서 2016년 2396개로 32.3% 증가했다. ... ...
내 아이와 함께 과학 논문 한번 써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09
고 말했다. 탐사대는 매년 1월부터 2월까지 대원을 모집한다. 4월부터 11월까지 사는
곳
주변에서 수원청개구리, 제비, 매미 등 탐사 대상 생물의 생태를 관찰하고 기록하는 활동을 벌인다. ... ...
[프리미엄 리포트]한없이 가볍고 따뜻한 패딩 깃털 얼마나 알고 입나
과학동아
l
2018.12.09
나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기름 성분에서 냄새가 발생할 수 있어 통풍이 잘 되는
곳
에서 보관하는 게 좋다. 관련기사 : 과학동아 12월호 '패딩은 왜 깃털을 사랑하나 ... ...
[여기에 과학] 퀸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 '태양의 길'에 빠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250여 개 이상의 데이터를 얻었습니다. 황도광은 단순한 빛이 아닙니다. 우주에 있는 먼
곳
에서 반사돼 돌아오는 빛입니다. 황도광의 세기와 그 변화는 결국 빛을 반사시킨 먼지나 천체의 움직임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메이가 하고자 했던 것은 황도광을 통해 저 먼 우주에 존재하는 먼지나 ... ...
감마선으로 보이지 않던 별자리 새 지도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08
초신성의 잔해, 중성자별 같은 천체에서 방출된다. 거꾸로 생각하면, 감마선이 오는
곳
을 알아내면 이런 천체를 찾을 수 있다. 과학자들은 감마선을 검출할 수 있는 감마선 망원경을 만들었다.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은 감마선 천체를 찾기 위해 만들어진 인공위성으로, 2008년에 발사됐다. ... ...
中 아무도 못 가본 달 뒷면으로 '대장정'… ‘창어 4호’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태양과 지구의 중력이 상쇄되는 라그랑주 점(L2) 주변을 맴도는 궤도다. 췌차오는 이
곳
에서 달의 뒷면과 지구를 동시에 바라보며 창어 4호가 달 뒷면에 착륙을 시도할 때 필요한 신호를 중계할 예정이다. 달 앞면에 착륙했던 탐사선들은 대부분 비스듬한 궤적을 따라 달 표면에 내려앉았다. 반면 ... ...
“과학문화 산업 키우려면 먼저 씨앗부터 뿌려야”
2018.12.08
등록된 국립과 공립, 사립과학관은 총 135개로 이 중 전라남도 광주에는 과학관이 단 2
곳
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 부장은 “과학문화의 산업화라고 해서 기업화라는 측면이 부각되지만 과학 대중화는 여전히 정부나 지자체 같은 공공의 도움이 필요하다"며 “지역 현황에 맞게 대중과 ... ...
[노벨상 시상식]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2018.12.08
세포 주기 조절을 통해 끊임없이 세포 분열을 한다. 또 처음 발생한
곳
이 아닌 다른
곳
으로 전이해 자랄 수 있으며, 우리 몸의 면역계를 피할 수 있다. 초기 암연구자들은 암세포가 ‘끊임없이’ 분열한다는 특징에 착안해 세포 분열 과정을 억제하거나 DNA에 손상을 주는 물질을 이용해 화학적 ... ...
[노벨상 시상식]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2018.12.08
힘들 것이다. 또 손가락이 너무 끈적거린다면 설혹 쌀알을 집어 올리더라도 원하는
곳
에 내려놓을 때 손가락에서 잘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이때 달라붙어 있으려는 힘은 작은 유체막에 의한 표면장력, 정전기력 그리고 반데르발스 힘이다. 레이저 빔을 9갈래로 나눠 광집게 기술로 공 모양의 입자 ... ...
이전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