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뉴스
"
곳
"(으)로 총 8,702건 검색되었습니다.
“홍릉, 보스턴처럼 성장하려면 정부가 산학연 잘 연계해야”
2018.12.18
김 교수는 마지막으로 “혁신적인 일은 저절로 이뤄지지 않는다”며 “KIST 같은
곳
들이 일종의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주도적으로 실행에 옮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기초연구 단계에서는 정부가 연구비를 지원하고 사업화 이후에는 민간 벤처캐피털을 통해 성장해나가는 ... ...
접착력 강하고 고통없이 떨어지는 반창고용 접착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쉽고 표면에 결함도 가지 않음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실리콘이나 유리 위 같은
곳
에도 고분자물질이 붙을 수 있도록 간단한 표면 처리만 해 주면 이 접착제를 응용할 수 있음도 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수오 교수는 “젖은 물질은 원래 잘 달라붙지 않는다”며 “젖은 물질을 자유롭게 붙이는 이 ... ...
‘꽃잎 지는 원리’‘기억의 장소’규명…올해를 빛낸 생명과학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시냅스를 구분했다. 빨간색 수상돌기 위에 있는 노란색 지점이 기억저장 시냅스가 있는
곳
이다. 왼쪽은 관측 이미지, 오른쪽은 3차원 모델링 이미지다. -사진 제공 서울대 생명과학과 다른 분야의 공동연구를 다루는 바이오융합 부문에서는 실용적인 연구가 많은 주목을 받았다. 친환경 바이오매스를 ... ...
세포 속 액체방울로 게놈 조절 가능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7
분리해 마치 주머니처럼 액체 방울로 감싸고, 이를 자유자재로 게놈의 가운데 원하는
곳
에 보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에는 ‘캐스드롭(CasDrop)’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텔로미어와 액체상 응집체의 역학적 상호작용. -사진 제공 서울대 공대 신 교수팀이 만든 이 액체 방울은 크기가 10 ... ...
멸종위기 꿀벌 살릴 백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7
밝힌 공로로 197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동물학자 카를 폰 프리슈가 일했던
곳
이다. 연구진은 프라임비를 바탕으로 자금을 모집하고 있으며, 향후 곤충백신회사인 ‘다란 애니멀 헬스’를 설립해 곤충을 위한 백신 개발에 전념할 계획이다. 프라이탁 교수는 “프라임비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 ...
살아 있는 임팔라를 먹는 하이에나들
팝뉴스
l
2018.12.16
제공 자연은 가끔 눈뜨고 보기 힘들 정도로 무섭고 잔인한
곳
이다. 작은 임팔라가 아직 살아 있는데 맹수들이 잡아 먹는 장면이 촬영되어 공개되었다. 지난 11월 중순 공개된 영상을 보면 원래는 치타 두 마리가 임팔라를 사냥해 뜯어 먹고 있었다. 곧 하이에나들이 닥치자 치타들은 생명을 ... ...
화성 향한 전기차부터 마지막 북부흰코뿔소의 최후까지…올해의 과학 이미지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입은 스타맨이라는 마네킹을 앉혔다. 현재 이 자동차는 화성궤도를 통과해 화성보다 먼
곳
을 날아가고 있다. 눈이 날리는 혜성.-ESA 제공 인류 최초의 혜성탐사선 '로제타'가 지난 4월 혜성 67P/추류모브-게라시멘코(67P/Churyumov-Gerasimenko)의 궤도를 돌며 이 모습을 포착했다. 먼지와 얼음 입자가 ... ...
과학 연구의 최전선을 담은 올해 최고의 사진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염색했다. 그 결과 특징이 서로 다른 세포가 오징어 전체에 퍼져있거나 한
곳
에 모여 있는 모습이 확연하게 드러났다. 단세포에서 다세포 생물로 진화하는 과정이 예상과는 다르게 복잡하지 않았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각각의 고유한 특징을 가진 세포가 한데 모여 오징어라는 생명체를 만들었듯, ... ...
한국인이 주도한 '한의학 세계화' 결실을 맺다…네이처 선정 올해 기사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천문대 제공 2014년 칠레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관측망(ALMA)'에 450광년 떨어진
곳
에서 갓 태어난 별이 내뿜은 빛이 도달했다. 과학자들은 이 빛이 나온 황소자리 HL의 원시행성원반을 분석하던 중 행성이 만들어지는 이른바 ‘행성 보육원’을 찾았다. 네이처는 최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행성 ... ...
초음파 센서 성능 3배 높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개발됐다.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김윤영 교수팀은 진동 초음파 센서가 부착되는
곳
양 옆에 한 쌍의 공진기를 붙여 센서 신호를 3배 이상 증폭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기계 장치나 건물 내부 결함을 보기 위해 이를 부수기는 어렵다. 대신 진동이나 초음파를 쏘아 돌아오는 신호를 ... ...
이전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