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문구독 조사표를 작성해 보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그림6)은 프로그램의 골격만 보여 주기 위해 데이타의 입력 처리 출력을 간단히 구성해
본
것이다. 프로그램은 크게 3개의 서브루틴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10번문장에서 50번문장까지 살펴보면 금방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각 서브루틴의 첫 문장은 REM문(주석문)으로 서브루틴의 기능을 기술하고 ... ...
현대 장비 동원 두 건축가가 밝혀낸 피라밋의 신비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필시 피라밋의 설계도들은 이집트의 측량단위로 기록되어 있었을 것입니다. 당시의 기
본
단위는 오늘날 단위로 따지면 52.5cm입니다.피라밋 앞에서면 왠지 신비하고 두려운 느낌을 받게 되는데 건축가인 우리들로서는 비합리적인 감정에 휩쓸려 들어갈 수는 없었읍니다. 이 피라밋을 지은 건축가가 ... ...
볼링 게임 관리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통하여 공부한 내용을 잘 이해하고 꾸준히 익힌 사람은 이제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기
본
적인 기법을 대부분 배웠다고 할 수 있다. 어쩌면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할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일은 공학(engineering)의 한 분야로서 기술의 향상을 위해서는 끊임없는 ... ...
천문학의 최전선 전파천문학이란 어떤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충남 대덕연구단지에 직경 14m의 밀리미터파 관측용 망원경을 건설하고있어 멀지 않아
본
격적인 전파관측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새로운 발견이 이어진다천체의 전파관측은 천문학에 괄목할만한 공헌을 할 수 있는 많은 발견을 하게 하였고 지금도 새로운 발견이 속속 이루어지고 있다.우주전파는 ... ...
일
본
첨단과학 견학기 놀라움과 새로운 각오의 일주일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뒤로 할수 밖에 없었다. 일
본
인과 유사한 외모때문이기도 했겠지만 귀국하는 기내에서 일
본
어로 먼저 물어보는 승무원들이 왠지 딱했다. 우리말을 먼저하면 그들도 우리말을 배울 수 있고 배우려고 할 것같은 생각이 들었다 ... ...
PART8 세라믹스 재료 제2의 석기시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있기 때문에 연소 혹은 다른 화학반응에 의해 더이상 산화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본
질적으로 산화물 세라믹스는 이미 제조과정에서 '태우고(燒)' '부식시키는' 처리를 거치기 때문에, 최종제품이 더이상 이러한 약화작용을 받는 것은 아니다). 화학결합이 강력하다는 것은 또한 융점이 높고 단단하며 ... ...
고3병의 현장 첫 징후는 성적저하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사당오락', '실패하면 끝장', '몇점은 맞아야', 'S대학에 진학해야'…이 모든 말들이 새로 고3에 진입한 학생들의 가슴을 무겁게 누른다. ... 대책수립이 가능하고 시기를 놓치지 않을 것이다. 기자가 고3병을 취재하면서 만나
본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고3병의 첫 징후를 성적저하로 보았다 ... ...
BASIC강좌⑥ 응용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 ; N으로 하면 된다.(그림20)은 빈문자(blank)가 찍혀나올자리에 "="문자를 출력시켜
본
예이다. (그림21)에서는 지금까지 배운 STRING$, TAB, SPC함수를 사용하여 원하는 패턴을 출력하고 있다. 실행시킨 결과를 보고 프로그램을 분석해보면 사용된 함수들의 기능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 ... ...
생나무 안테나로 텔레비젼을
본
다.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의하면 1kw의 송신기에서 2백50km나 떨어진 지점에서 바나나나무를 안테나대신으로하여
본
흑백텔레비전의화상은 '상당히 양질'이었다는것.바나나 나무 외에도 큰 잎이 있는 나무면 수신이 가능하여 코스타씨는 안테나를 살수없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이방법을 널리 보급하려고 계몽하고 있다.미국 ... ...
한국화학연구소 안전성 연구 센터 노정구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따른다는 것은 당연한 일 아니겠읍니까. 예컨대 '쥐 키우기' 만해도 동물실험실을 지어
본
업자나 설계자가 전무한 실정이었으니까요. 이 분야 연구에 대한 인식의 부족을 깨우치는 것이 정작 어려웠읍니다. 그러나 '독성연구를 해서 무엇하나, 외국에 의뢰하면 되지'라는 몰이해는 정작 농약을 ... ...
이전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