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제비교를 통해
본
한국인의 사인특성 간질환 결핵 자동차사고가 두드러져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미리부터 예방치료한다면 이들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도 완화 내지는 해결할 수 있으리라
본
다.사인구조의 변화는 사회·경제구조의 변화와 상응하는 추세가 일반적인 현상이다. '골드맨'이라는 인구학자는 한국의 사망력을 연구한 논문에서 40대 남성이 특징적으로 높은 사망패턴을 지적하고, 그 ... ...
BASIC강좌⑤ 서브루틴의 다양한 활용법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출력된 것이다. 다음에 "SEOUL"을 5회 출력시키는 부분을 또하나의 서브루틴으로 구성하여
본
예가 (그림14)에 있다. 즉 서브루틴에서 또다른 서브루틴을 실행시키는 것이다. 실행결과는 (그림13)과 (그림14)가 똑같다. 80번문에 END가 빠지게 되면 주프로그램의 마지막을 나타낼 길이 없게된다. 서브루틴을 ... ...
PART2 비약적인 기술혁신의 비결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그러나 기초적인 학문의 발전없이 보다 장기적인 발전을 약속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일
본
과 비슷한 기술전략을 가진 한국 등의 신흥공업국이 맹추격해 오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경쟁적인 과학기술에 의한 번영은 불안정한 것이다 ... ...
고성능 256KS램 개발 주역 김 창수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사업하는 법을 배워야겠지요."'마법의 돌' '산업의 쌀' 로 불리는 반도체. 미국이 일
본
에 정상의 자리를 넘겨주었듯이 그 자리를 적어도 메모리분야에서는 우리도 한번 서볼 수 있지 않겠느냐는 조심스러운 결의를 다지는 김박사. 그의 도전적기질이 우리나라 반도체역사에 반드시 의미있는 자취를 ... ...
수면이론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수면은 세균의 세포벽에 있는 물질(SPU)때문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논렘(NON-REM)수면의 양이 늘었다. 그리고 무라밀 펩티드보다 극적으로 잘 들었다.결과를
본
크루거킴은 '무라밀 펩티드가 뇌의 신경세포에 인터류카인Ⅰ을 만들게하여 그것이 잠을 촉진시킨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논렘 수면은 면역증감 과정이다'라는 발상에 이르게 되었다. 다시 정리해 보면 ... ...
눈은 왜 육각형 모양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암호'를 해독하여 상공의 온도, 습도상태(과포화도)등을 추정했다.1947년에는 미국의 'B.
본
네거트'가 요드화은(Silver iodide·옥화은)의 연기 미립자를 핵으로 과냉각시킨 물구름을 빙정(氷晶)의 구름으로 바꾸는데 성공하여 인공적으로 눈을 만드는 길을 열었다. 이것은 눈에대한 연구의 새 장을 ... ...
플라즈마 물리학 핵융합발전의 미래를 연다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플라즈마 핵융합을 더욱 절실하게 추구하고 있다. 세계 제1, 2위의 '토카막'이 유럽과 일
본
에 있음은 결코 우연이 아닌 것이다. 그러나 미국에서도 현재 다음 세대의 기계에 해당하는 '핵융합시범장치'가 고안중에 있어 곧 주도권을 재확인할 것으로 판단된다. 플라즈마 물리학의 무한한 ... ...
주사형 터널링 전자현미경(STM) 육안으로 원자를
본
다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대단히 정밀해서 현재 수백분의 1A 정도의 분해능이 얻어질 수 있다.원자의 배열을
본
다우리들은 STM의 응용례로서 균일한 표면 구조를 가진 단결정의 형상을 조사한 바가 있다. 결정의 내부는 같은 원자층이 겹겹이 쌓여 있는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산란실험에 의해 조사한 바로는 최상층은 ... ...
물질세계⑥ 소립자와 우주의 계층구조 우주는 대칭이다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중성자 속에 있다는 확증을 가지고 있으나, 양성자나 중성자 밖에 나와 있는 쿼크를
본
사람은 하나도 없다는 것이다. 사실상 현대이론에 의하면 양성자속의 쿼크는 절대로 바깥 세상에 못나오도록 단단히속박되어 있다. 이들 쿼크는 글루온 (gluon)이란 입자를 교환하면서서로 묶여 있어 절대로 ... ...
세계의 대사막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을 만들고 모래 언덕이 생긴다.모래언덕은 사막이라면 반드시 있게 마련이지만 면적으로
본
모래사막은 사하라사막이 20%이하, 오스트레일리아의 사막에서 30%이하에 불과하다. 그러나 오아시스에는 언제나 모래언덕이 비치고 있어 사막과 오아시스와 모래언덕은 떼어놓을수 없는 경관이라 할 수 ... ...
이전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