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자탐방] 미술관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개발하고 실행하는 역할도 맡는다.적성 및 흥미큐레이터가 되려면 우선 예술적인 안목과 전문성이 필요하다. 또한 전시를 기획할 수 있는 창의성과 주의 깊은 관찰력, 탐구 자세도 갖추어야 한다. 역사를 비롯해 다양한 문화에 대해 흥미가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다.준비 방법미술관 큐레이터의 경우, ... ...
- 기자가 필요 없는 세상이 온다? 미래는 알고리즘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암 환자의 유전 정보를 수집한 뒤 이를 분석해,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 방법을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활용하고 있다.온라인 상으로 심리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알고리즘도 있다. 스트레스나 불면증, 우울증 등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이 자신의 증상을 체크하면, 알고리즘이 수집된 증상을 분석한다. 그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세상은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 온 것이 철학의 역사였고 과학의 역사였고 인류 문명의 역사였다. 철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고대 그리 ... 헌터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Bridge. 입자물리학 119년의 역사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Part 3 '코리아늄' ... ...
- 사진 두 장으로 10초 만에 3D 캐릭터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얼굴 영상은 10초 만에 만들 수 있었으며, 두상을 포함한 정밀한 영상도 2분 30초 밖에 안 걸린다. 구본기 부장은 “이번 3D 얼굴 복원 기술을 활용하면 3D 아바타를 손쉽게 생성할 수 있는 만큼, 의료현장은 물론 게임, 영화 환경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빈 둥지.초겨울 특유의 스산한 기운이 감돌던 지난해 12월 2일 오후, 대전 문지동에 위치한 카이스트(KAIST) 문지캠퍼스를 찾았다. 이곳 한 켠에 마련된 국가핵융합 ... 헌터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Bridge. 입자물리학 119년의 역사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Part 3 '코리아늄' ...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경우가 거의 없다. 정부가 비밀리에 지원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20년 안에 다가올 화성 유인탐사에서 우주인 생존을 위한 비법이 무엇일지 눈여겨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겨울잠 스위치 켜고 우주여행 떠나자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PART2. 화성여행의 ... ...
- 그 많던 공룡 배설물은 누가 다 치웠나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영상으로 재현했다. 화석 안에는 바퀴벌레의 배설물도 함께 갇혀 있었는데, 연구팀은 그 안에서 나무 입자를 발견했다. 나무 입자들의 가장자리가 매끈한데다가 바퀴벌레는 나무를 소화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퀴벌레가 먹은 나무일 가능성은 적었다. 연구팀은 나무 입자의 크기로 보아 바퀴벌레 ... ...
- 차세대 ‘레이저’ 입자가속기, 한국이 주도한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것과 같은 원리”라고 말했다.김 연구원은 이어 “레이저 방식의 장점은 소형으로, 방 안에서 고출력의 전자 가속이 가능하다”며 “(LHC보다 수백 배 강력한 수준인) 수PeV급의 가속기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방식의 차이로 아직 중이온 가속은 불가능한 게 흠이다. 이 연구 결과는 11월 27일 ... ...
- 일본 로봇, 허세 떤 미국 로봇을 꺾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팀은 모두 8개로, 22일 이후 발표할 계획이다. 트랙D로 KAIST팀이 추가로 출전할 것을 감안하면 2014년말에는 모두 3개의 한국팀이 200만 달러의 최종 우승 상금에 도전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오준호 KAIST 교수(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장)는 “충분한 경험을 얻었으니 내년 말에는 더 좋은 성적을 보여 줄 ...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과학동아 l2014년 01호
- 3만 8600km로 7000km나 늘어난다. 전력 수요가 매년 2.2%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이 안에 따르면 한전은 765kV 송전선을 신설할 계획은 없고 345kV 송전선은 가급적 지중화를 할 예정이지만, 송전선이 좀 더 촘촘하게 전국에 깔릴 것이다.밀양송전탑 전문가협의체에 참여했던 하승수 녹색당 ... ...
이전4854864874884894904914924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