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제9의 예술 만화에 빠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9호
좋은 만화를 찾는
안
내자가 되어 준다면 가장 좋겠죠.그래서, 어린이과학동아가 탄생!
안
녕하세요? 세계의 가장 핫한 뉴스만을 전달하는 과학특파원 황당맨 기자입니다. 오늘은 역사적인 순간입니다. 드디어 과학과 만화의 만남! ‘어린이과학동아’가 창간됐다고 하는데요…. 뭐 벌써 9년 전의 ... ...
괴물블랙홀 헌터 누스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9호
끝나고 남은 별의 질량이 태양보다 3배 이상 더 무거우면 블랙홀이 된다고 설명해요.눈에
안
보이는 걸 보려면 X선!빛마저 집어삼키는 블랙홀의 존재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블랙홀에 빨려들어가는 물체는 마지막 비명처럼 X선을 내보낸답니다. 그래서 X선을 조사하면 블랙홀을 찾아낼 수 있어요. ... ...
부력으로 둥둥 물로 가는 친환경 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8호
말했잖아. 물론 물을 많이 넣으면 보트 속도가 빨라질 수 있지만 무게도 무시하면 절대
안
돼~! 물을 너무 많이 넣어서 보트 무게가 무거워지면 꼬르륵하고 물에 가라앉을수 있으니까 조심해야 해.눈금을 보고 물의 양을 조절하면서 여러 번 실험을 하면 가장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 ...
조상님도 뵙고 까마득한 후손도 만나고 한가위 타임머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8호
지능이 더욱 발달해 상상 속 외계인처럼 두개골도 커졌다. 하지만 몇몇 전문가들은 네
안
데르탈인의 두뇌 크기(약 1200~1600㏄)가 현생인류의 것(1500~1600㏄)과 비슷했다는 근거로 이 주장에 반대하기도 한다. 미래 인류도 우리와 두뇌 크기가 비슷한 대신 훨씬 복잡할 것이라는 주장이다.오뚝한 코 ... ...
지구사랑탐사대 세 번째 뉴스레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8호
준다고 해요.꼭꼭 숨겨라, 마이크가 보일라~!산과 들에 녹음기를 숨겨놓고 24시간 동
안
녹음해서 얼마나 다양한 노래곤충이 살고 있는지 조사하는 여름방학 특별미션! 우수탐사대원 형제가 함께 참여했어요. 사람들한테 들키면 녹음기를 잃어버릴 수도 있기 때문에, 늘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동생 ... ...
눈이 번쩍 뜨이는 시력짱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더 시력 지키는 여섯 가지 방법아직까지 근시를 치료할 수 있는 완벽한 방법은 없어.
안
타깝지만 말이야. 그러니까 근시를 예방하는 게 가장 중요하지. 이미 근시라고 해도 18~20세 까지 눈이 급격히 나빠지지 않도록 유지해야 해. 어떻게 하면 소중한 시력을 지킬 수 있을까? 나, 눈알이가 여섯 가지 ... ...
메뚜기 VS 여치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습한 곳을 좋아하고, 주로 밤에 활동한답니다. 눈치가 빨라서 사람 기척을 느끼면 오랫동
안
꼼짝 않고, 덤불 깊숙이 숨어서 울기 때문에 발견하기 어려워요 ... ...
원자력이
안
전해? 정말? 정말!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원전 사고 같은 무서운 사고를 걱정하지 않아도 돼,특종이야! 직접 취재해보니 원자력
안
전, 믿어도 될 것 같아. 다음에는 더 멋진 특종을 잡아 올게. 다음에 다시 만나자~ ... ...
반대루 방송국의 MC ‘머이리 헷갈리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비친 물체는 몇 개?“세 번째 문제를 내겠습니다. 엄청나게 헷갈렸는지 이제 열 명 밖에
안
남았군요. 홍홍홍.”간단한 거울 문제다. 거울은 빛을 반사하는 성질이 있다. 물체를 마주보는 거울 사이에 놓으면 물체가 무한대로 보인다. 양쪽 거울이 계속 반사하기 때문이다.“거울 두 개를 60도로 ... ...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것이다. 그런데 왜 우리 눈으로는 얼음 위의 물 층을 볼 수 없을까? 물 층이 돋보기로도
안
보일 정도로 엄청나게 얇기 때문이다.스케이트 날의 압력으로 얼음 표면이 녹는다는 설명이 있는데 이것은 잘못 전해진 속설이다. 사람 몸무게로 스케이트 날에 줄 수 있는 압력 효과는 기껏해야 온도를 1℃ ... ...
이전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