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집
모집
채취
집합
d라이브러리
"
채집
"(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지표종 이용, 환경오염 정도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③ 나머지 1개 (B)의
채집
병을 20℃에서 5일간 보관한 후 DO를 측정한다.④
채집
병 (A)의 DO-
채집
병 (B)의 DO=BOD BOD 값이 높을 수록 호기성 세균이 산소를 많이 사용한 것이며, 이는 물에 유기물이 많음을 의미한다. 즉 오염이 심한 물이다 ... ...
그림 솜씨 보고 얼굴형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여겨지는 화남형은 그들의 조상이 오랜 기간 산악지방의 숲속에서 도토리 등 견과류를
채집
해 살았을 것이다. 따라서 상악동(上顎洞)이 커지고 근거리 시야의 시각정보 처리능력과 서로의 신호교환을 위한 발성능력 청각능력이 발달됐을 것이다. 또 가파른 산길을 오르내리자니 폐활량이 커지고 ... ...
안개에서 물뽑아 생활용수로 이용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약 2백50명의 주민들은 산 위에 쳐둔 나일론망으로 지표부근에서 발생하는 안개의 수분을
채집
, 음료수 등의 생활용수로 이용하고 있다.기상용어로 말하는 '구름'과 '안개'는 그것이 지표에 접해 있으면 안개, 그렇지 않으면 구름으로 실질적으로는 같은 것. 목욕도 마음대로 못하던 마을칠레 ... ...
바다위는 멀쩡 개펄은 기름먹은 스펀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남해도로 돌아왔다. 오염이 심했던 화전마을의 간조선에서 기름에 범벅이 된 고둥들을
채집
했다. 또한 바지락 양식을 하고 있는 10개의 어촌계에서 바지락을 50개체씩 채취했다. 바지락은 깨끗한 해수에 12시간동안 담가 두었다가 조직을 제거해 탄화수소 함량을 분석하게 된다. 섭취된 기름의 ... ...
우주항공에서 환경보호까지 세계 첨단기술 총집합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러시아관 입구에 전시된 화성자행기구 '화성 96'은 화성표면을 스스로 이동하면서
채집
분석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장비. 또 우주착륙선 '베네라 10호' '베네라14'호 등이 실물크기 모형으로 전시돼 있다. 최초의 여성비행사 테레스코바가 탔던 우주비행선 보스토그 6호를 비롯, 한때 세계의 주목을 ... ...
백령도의 조류와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육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임에도 확실하게 동정하기 어려운 식물을 가능한 한
채집
했다. ■ 넷째날일기가 고르지 못한 탓에 원래 예정대로 토요일 귀환하려던 계획을 이틀 앞당기기로 했다. 그래서 오전에 좌담회를 갖고 오후에 백령도를 떠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오전 9시가 돼도 인천에서는 ... ...
지구과학- 도구를 만드는 재료에서 핵연료까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스테노의 '면각일정의 법칙'이다.덴마크의 스테노는 산에서 바위틈에 붙어 있는 수정을
채집
하여 이 수정이 왜 비슷한 모양을 하며 또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를 궁금하게 여기던 중, 수정의 단면이 완전히 정육각형인 것도 있지만 대체로 조금씩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같은 특성을 가진 ... ...
생물종 보존에 냉동저장법 제안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분류학상의 소속을 확인하는 일)을 받거나 아무런 기록도 남기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채집
일 뿐 조사분석은 최소화한다는 것. 그래야만 긴급 구제 조치기 광범위하게 진행될 수 있다. 냉동된 표본으로부터 어떤 것을 얻는 것은 미래학자의 몫이라는 것이 벤포드의 생각이다."냉동 표본 중 미생물은 ...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이야깁니다만 저는 한국에서는 생물을 공부하지 않았습니다. 곤충
채집
이나 식물
채집
, 뭐 그런 게 다인 줄 알았죠. 사실 움직이는 것을 만지기 싫어하는 성격이기도 했고요. 유전자를 합성하는 실험을 하면서 생물학이 심오하고 체계적인 고급학문이란 것을 처음 알았지요"그 연구실에 ... ...
뱀장어 생태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뒤 죽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아직 자연상태에서 성숙한 뱀장어나 알이 한 개체도
채집
되지 않아 산란 생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뱀장어의 치어는 어미와는 달리 몸이 투명하며 그 모양이 대나뭇잎과 같아 댓잎뱀장어(Leptocephalus)라 불린다. 댓잎뱀장어는 해류를 따라 회유하여 대륙사면에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