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집
모집
채취
집합
d라이브러리
"
채집
"(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크낙새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기록은 1886년 폴란드인 칼리노브스키(Kalinowski)에 의해 광릉과 개성 등지에서 수개체가
채집
돼 영국동물잡지에 'Thriponax Kalinowski Taczanowski'로 명명됐으나 트리스트람에 의해 동종이명으로 판명됐다. 이러한 희귀조가 1986년 이후 남한에서 그 자취를 감추었다. 다만 북한의 황해도 일대인 평촌군 인산군 ... ...
"해양연구의 중요성 실감"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사정상 무산됐어요. 시간이 나면 학교 근처 무창포에 가서 플랑크톤이라도 직접
채집
해 봐야겠어요.이재혁:생물교사들은 다른 과목에 비해 현장조사 기회가 많지만 이런 기회가 자주 있는 것은 아니지요. 학교로 돌아가면 아마 해양 관련 단원은 자신있게 가르칠 겁니다. 본 것 하고 안본것은 ... ...
대한해협의 해양자원도 조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마지막날9번 정점을 조사한 후 CTD만 측정하면서 부산항으로 들어옴. 돌아오는 동안
채집
한 해양생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과 해수중 금속이온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유박사와 김박사가 각각 설명했다. 12시경 부산항 입항. 소주와 함께 식사를 하면서 연구원 및 선원들과 아쉬운 작별을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여과속도라면 동물성 플랑크톤은 별다른 손상을 입지 않는다고 한다. 동물성 플랑크톤을
채집
하는 체의 크기는 양어장의 물고기들의 발전단계에 따라 달라진다.퀸은 자신이 만든 '수염고래' 수확장치를 가동시키면 1시간당 1천 ℓ의 동물성 플랑크톤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이때 플랑크톤의 ... ...
우리 식물 5백가지를 바르게 안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표본
채집
도 자연파괴가 아닐까 싶어 사진으로 기록을 남기기로 했습니다. 부득이 표본을
채집
하더라도 뿌리만은 남겨야겠습니다."전국 산야를 누비다 보니 누구보다 자연파괴 현장을 자주 보게 돼 안타깝다고 말하는 그는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시멘트를 위한 석회암 채취도 자연이 훼손되지 ... ...
2 흙과 미생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공동묘지의 흙을
채집
하는 한편, 비교실험용으로 인간의 흔적이 닿지않은 처녀지의 흙을
채집
해서 분석하여 보았다.놀랍게도 왁스만은 공동묘지의 흙이나 처녀지의 흙속에는 병원성 미생물은 거의 없고 흙속에서 흔히 발견되는 비병원성 미생물들이 거의 비슷한 숫자로 존재함을 발견했다. 이러한 ... ...
타분 동굴의 유해, 인류최초의 매장 증거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깊이는 20m로 7층 건물 높이였다.1950년대에 탄소-14 연대측정법을 사용, 이 동굴유적지에서
채집
한 부싯돌 도구의 연령을 측정했는데 약 6만년전의 것으로 밝혀졌었다. 부싯돌이 발견된 지점 바로 밑에는 한 여성의 유골이 묻혀 있었다. 당시 학자들은 이 여성의 생존시기는 부싯돌이 제작된 시기보다 ... ...
동물계통분류학 대이은 김훈수·김원 부자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장남이다. 장녀 김아미씨와 차녀 김우미씨도 모두 의사다.김원 교수는 국민학교때 야외
채집
을 나가는 아버지를 따라다니다 자연에 대해 호기심을 느낀 것이 결국 부자 2대에 걸쳐 같은 학문을 하게 됐다. 서울 태생인 그는 서울대 동물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플로리다주립대에 유학, '동태평양 ... ...
맨틀과 핵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그런가 하면 지질학이라는 학문이 있다. 지질학자들은 기분상쾌한 곳으로 탈출해 돌을
채집
하는데 그렇다고 해서 지질학이 암석연구만 하는 것은 아니다. 아니, 지질학이 그 어떤 과학보다도 우리와 가까운 학문인 까닭은 지질학은 바로 우리가 사는 지구에 대해 연구한다는 점이다. 지질학자들은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나방은 사촌간이나 나방은 대개 해충으로 꼽힌다. 그래서인지 나비는
채집
해도 나방을
채집
하는 사람은 드물다. 나비와 나방은 더듬이의 모양으로 구분하면 틀림없다. 나비의 더듬이는 끝이 곤봉처럼 굵고 나방의 더듬이는 실 빗살 깃털 모양을 하고 있다. 이밖에 나비는 낮에 활동하고 몸통에 비해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