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d라이브러리
"
투과
"(으)로 총 590건 검색되었습니다.
삐삐 완벽 활용법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몰라서 못 쓰는 기능이 적지 않다.무선 호출은 AM의 장거리 전파전달성과 FM의 직진
투과
성을 동시에 만족해야 하지만 전파는 이 두가지를 동시에 만족시키지 못한다. 단지 송신 기지국의 적정한 운용에 따라 어느 정도 만족할 수 있는 주파수를 찾아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1백60㎒대다. 그러나 ... ...
생물 - 마이크로 세계 신비에 도전, 전자현미경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과정이 전제 조건이 된다.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과 투사 전자 현미경은 빛이나 전자가
투과
할 수 있도록 재료를 얇게 잘라야 하므로 물체의 입체적 형상을 관찰하기가 곤란하다. 이러한 결점을 보충하는 방법으로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한다.주사전자 현미경(SEM)에서는 전자 광선이 금속 입자로 ... ...
1 생물의 모든 변화현상 매개하는 생명의 근본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수백 수천배가 되어 그 구조를 연구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효소의 구조는
투과
력이 강한 X선을 이용하여 단백질 효소의 사진을 찍고 여러 복잡한 계산을 거치면 거미줄 모양의 복잡한 모양을 얻게 된다(그림1).최근에는 컴퓨터의 발전으로 이러한 연구가 더욱 손쉽게 되었으며 효소의 ... ...
PARTⅠ'20세기의 판도라 상자' 핵에너지, 어떻게 탄생됐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큰 빛. 알파선은
투과
력은 약하지만 다른 원소를 이온화하는 능력이 크며, 감마선은
투과
력은 가장 강하지만 이온화 능력은 가장 뒤진다. 베타선은 그 중간.원자량이 큰 원자핵들은 알파붕괴를 통해 핵변환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지만, 원자량이 작은 원자핵들은 베타붕괴에 의해 핵변환을 일으키는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더 강하다. 아마도 감마선으로 사진을 찍으면 뼈도 보이지 않을 것이다. 무지막지한
투과
력을 이용하여 인공 돌연변이를 일으킬 때 쓰인다.이들은 모두 닭이 알을 낳고 알에서 닭이 나오듯이 공간에 전기장과 자기장이 번갈아 생기면서 퍼져 나가는 전자기파들이다. 따라서 속도는 모두 같고 초속 3 ... ...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일견 무시무시하게만 느껴지는 방사선 피폭은 육종학 분야에서 이미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인체 방사능 피폭의 유전적 영향인데…편집광적으로 집념이 강하면서도 자신의 연구분야에서는 특출한 재능을 가진 한 과학자가 어느날 실험실에서 방사선에 노출된다. 이 사고로 ... ...
지구과학 - 기압ㆍ온도조건 따라 다양한 모양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배율이 낮은 현미경 하에서 방사광이나
투과
광을 이용해 관찰하거나 촬영을 한다.
투과
광을 이용하면 세세한 구조를 살피는 데 용이하며 반사광을 이용하면 눈 결정의 전체적인 모습을 촬영하는 데 용이하다. 반사광을 이용할 때 광원을 비스듬히 놓으면 입체적인 느낌을 살릴 수 있어 훌륭한 ... ...
우주감마선의 진원지는 중성자별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X선과 같이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 정도로 알고 있다. 감마선의 특징은 파장이 짧으면서
투과
력이 아주 센 독특한 전자기파다. 또한 에너지 강도가 매우 높아 암을 치료한다든가 살균제 또는 절단재료(감마나이프)로 활용이 기대된다.문제는 우주공간에서 분출되는 감마선. 인류가 우주공간에서 오는 ... ...
인체속 소금의 기능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조절하는 일이다. 세포내액과 세포간질액 사이에 존재하는 세포막은 자유로이 물을
투과
시키는 성질이 있다. 세포내외의 삼투압은 칼륨과 나트륨 등에 의해 일정한 상태에서 동일하게 평형을 이룬다(칼슘 마그네슘 인산 등도 삼투압 조절에 관여). 세포가 자신의 삼투압을 직접 조절할 수 있는 ... ...
장기기억은 시냅스에 깊이 새겨져 오랫동안 존재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하는 것이다.이러한 현상은 흥분전도가 이루어지는 시냅스 부위의 신경세포막에서 이온
투과
성이 증가함으로써 생기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흥분이 사라지거나 새로운 흥분파가 이 흥분전도를 방해하면 기억은 사라지게 된다. 이를테면 더욱 큰소리나 강한 감각경험으로 주의를 돌리게 되면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