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d라이브러리
"
투과
"(으)로 총 590건 검색되었습니다.
붙이는 약 전성시대 다가 왔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경피투여가 가능한 것이다.둘째 대다수의 약물은 약한 전해질의 성질이 있어서 피부
투과
가 어렵다. 피부(특히 각질층)는 20%의 지방성분과 40% 정도의 케라틴(keratin)성 단백질로 구성돼 있다. 전체적인 성질은 지용성이다. 따라서 전해질과 같은 수용성 물질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피부의 지용성과 서로 ... ...
손톱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이 있다. 조모에서 만들어지는 조판이 아직 각질화하지 않은 부분인데, 희게 보이는 것은
투과
광선의 반사때문으로 여겨진다. 흔히 이 부위의 넓고 좁음과 건강을 연루시키는 사람도 있지만 과학적인 근거가 없는 얘기다.손톱 끝을 덮고 있는 피부는 미생물 등이 조모로 침범하지 못하게 하는데 ... ...
방사능 피해 α입자가 문제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다. α입자는 이온화의 밀도가 낮은 X선이나 감마선보다 인체를 잘
투과
하지 못한다.연구팀은 백혈구나 적혈구로 아직 성숙하지 않은 간세포(stem)에 이 알파입자를 쬐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세포가 죽었고 살아남은 것들도 몇번의 세포분열과정을 거치자 손상당했다는 징표가 ... ...
(3) 전자파 장해 막을 수 없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전파원과 피해를 입을만한 대상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방법이다. 전파는 도체를
투과
할 수 없다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피해대상이나 전파원 자체를 도체판으로 감싸주면 된다. 굳이 완전한 도체판이 아니고 여기저기 구멍이 뚫린 도체라도 특정한 주파수에 대해서는 충분한 차폐의 효과를 ... ...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출력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돌파구가 될지도 모른다. X선 이하로 파장을 줄이면 물체를
투과
하기 때문에 공진기를 만들 수 없다. 기존의 레이저 공진기 개념을 뛰어넘는 새로운 공진기를 만들어야 하는 데는 기술상 어려운 점이 따른다. 그러나 X선 레이저도 곧 그 정체를 드러내고 우리앞에 나타날 ... ...
병마를 추적하는 첨단의료기기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촬영할 수 있게 됐다. 보통 한개 단면을 촬영하기 위해 1,2백개의 방향에서 X선을
투과
시켜 촬영하기 때문에 진단받는 사람의 X선 피폭량이 증가되는 것이 가장 커다란 단점이나, X선 검출에 필름 대신 고감도의 검출방법을 사용하여 X선 사용량을 줄여가고 있다. 자기공명영상진단장치-다양한 각도로 ... ...
(2) 영화도 가능한 스테레오 홀로그램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사진건판 바로 뒷쪽에 위치해 있다. 원리는 기준파가 사진건판에 전달된 후 사진건판에
투과
돼 피사체에 닿게된다. 반사 돼 나오는 물체파는 물체의 모양에 따라서 변화된 파장이 다시 사진건판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 이미 사진건판에 도달된 기준파와 만나서 간섭현상을 보이고 그 무늬를 ... ...
브라운관에서 액정화면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전기장에 의한 토크 때문이며 이 크기는 전기장 크기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결국 빛의
투과
도는 양 전극 사이에 허용된 전압에 관계된다.최근에는 이중 꼬임 네마틱 액정(double super-twisted nematic)을 이용해 대비율과 시야각 특성이 우수한 표시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또한 전압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각 ... ...
과자속에서 요정이 춤춘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맘껏 보여줄 수 있다.베글라이터의 다음 목표는 투명한 과자 내부에 3차원상을 만드는
투과
형 홀로그램과자다. 이 과자 속을 들여다 보면 보는 시각에 따라 형형색색의 요정이 옷맵시를 뽐내고 있을 것이다. 좀더 기술이 진전돼 과자를 회전시켰을 때 한 편의 단편 만화정도가 표현될 수 있을 정도가 ... ...
소아당뇨병 치료에 획기적 방법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격리돼 있기 때문에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포도당과 인슐린은 반투막을 자유로이
투과
할 수 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인공췌장은 혈당치의 변화에 대응해 인슐린을 분비, 당뇨병을 치료한다.이와타박사는 반투막 원료로 한천의 주성분인 아가로스를 사용해 동물실험을 인공적으로 마쳤다고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