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역사에 관한 최신 연구 총집합...정자가 난자를 만나기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그리고 각 여성과 남성의 인간백혈구항원(HLA) 유전자를 분석했다. HLA는 모든 세포의
표면
에 위치해 인체가 자신과 외부에서 들어온 물질(비자기 물질)을 구별하는 분자 집단이다. 연구결과 자궁 경부 점액과 정자의 HLA 유전자형 차이가 클수록 정자의 생존 확률이 높았다. 또한 운동성과 생존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드디어 발사 성공! 새로운 시작을 열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들어가는 점화기의 압력도 지상시험과 1차 발사 때와 유사하게 변했다. 점화기 헤드의
표면
온도는 22.8℃ 상승해 1차 발사 때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노즐부에서 측정된 온도 데이터에서도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나로호 2단에 탑재한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에는 2단 엔진이 정상적으로 점화되는 ... ...
[만화뉴스] ‘실내조명’으로 충전되는 배터리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염료감응 전지가 생산한 전기가 리튬이차전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리튬이차전지
표면
에 탄소를 넣어 전극을 같게 맞췄어요. 연구팀이 새로 개발한 전지는 실내조명으로 충전한 뒤 사물인터넷 센서도 작동시킬 수 있었답니다 ... ...
[기초과학의 힘] 고품질 그래핀 4층으로 쌓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구리-실리콘 합금이 형성됐다. 여기에 탄소 공급원인 메탄 기체를 주입하자 구리
표면
에 균일한 실리콘-탄소(Si-C) 층이 생겼다. 1075℃까지 온도를 더 올리자 구리와 실리콘은 승화하고 탄소 사이의 결합이 생기며 그래핀 결정핵이 만들어졌다. 그래핀 결정핵은 이후 균일한 그래핀으로 성장했다.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분홍색 지역은 약 35억 년 전에 생긴 지질이에요. 당시 달은 수많은 소행성과 충돌해
표면
에 많은 크레이터가 생겼지요. 이처럼 이 지도에는 45억 년 전부터 달이 어떻게 변했는지 담겨있답니다.전 NASA의 우주비행사이자 현 USGS 짐 레일리 국장은 “이 지도는 달의 기원과 시대에 따른 달의 변화 모습을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크레이터, 발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크레이터(crater)달을 크게 찍은 사진을 보면 달
표면
에 움푹 파인 구덩이들이 잔뜩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이런 구덩이들을 가리켜 ‘크레이터’라고 부른답니다. 1791년, 독일의 천문학자인 슈뢰터가 ‘그릇’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본떠 붙인 이름이지요. 크레이터는 운석 충돌이나 화산 폭발 ... ...
태양을 망원경으로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망원경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답니다. ● 인터뷰 “2060년에는 외계행성의
표면
을 직접 볼 수 있을 거예요!”슬라바 투리셰프(NASA 제트추진연구소 연구원) Q. 태양 중력렌즈 망원경은 어떻게 설치할 계획인가요?태양에서 550AU는 정말 먼 거리예요. 우리는 무게가 100kg이 안 되는 소형 위성 ... ...
[특집] 모든 물체는 종이접기로 만들 수 있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만들 수 있는 종이접기 방법을 고안하고자 했습니다. 먼저 만들고 싶은 3차원 물체의
표면
을 삼각형으로 분할했습니다. 물체의 곡선까지 나타낼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삼각형으로 나눈 뒤, 한 장의 종이 위에 이 삼각형들을 적절히 배치했죠. 그리고 종이를 접었을 때 삼각형들이 모여 3차원 물체를 ... ...
[2020 노벨상] 물리학상│보이지 않는 블랙홀이 생길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펜로즈 교수는 중력으로 인해 수축하는 대상이 약간의 비대칭성을 갖더라도 일단 갇힌
표면
이 생성되면 결국 블랙홀로 귀결될 수 있음을 수학적으로 증명했다. 즉, 중력수축하는 별이 슈바르츠실트 반지름까지 작아지면 별을 구성하던 물질이 무한히 작은 공간에 밀집되며 밀도가 무한대가 돼 ... ...
대세 게임 ‘폴 가이즈’ 재미 비결은 ‘F=ma’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사용해 실제 세계와 같은 느낌의 영상을 화면에 그려주는 프로그램이다. 물체의 형상과
표면
의 질감, 빛에 따른 음영 등을 조절해 실제 같은 이미지를 만들어낸다.물리 엔진은 완성된 이미지에 사실적인 움직임을 불어넣는 프로그램으로 하복(Havok), 피직스(PhyX) 등이 대표적이다. 우리의 일상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