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이와 관련된 사례를 쉽게 볼 수 있다. 인간과 똑같은 안드로이드는 로봇을 인간과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러 법적윤리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누구나 로봇의 외형 또는 목소리를 통해 로봇임을 알아차릴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다수의 동일한 로봇이 있는 장소에서 사건사고가 발생할 시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활용되는 AI 기술을 인식, 판단, 동작, HRI(인간-로봇 상호작용Human-Robot Interacion) 네 분야로 구분한다. 우선 로봇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인식하는 분야인 ‘인식’이다. 이어 이렇게 인식한 정보를 해석해 주변 상황을 파악하고, 상황에 맞는 행동을 계획하는 ‘판단’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3조 원짜리 공연장, 스피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선사할 수 있는지 함께 살펴봐요. 사람과 달리 쥐나 개 등 다른 포유동물은 빨간색을 구분할 수 없습니다. 빨간색을 볼 수 있는 영장류, 그리고 인간은 어떤 이득을 얻었을까요? 이후 문명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에게 빨간색은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영상에서 확인해 보세요. 총알에 실을 묶어 ... ...
- 새로운 로봇 등장 New bot in town!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발, 사람의 발과 닮았다옵티머스 젠2의 발은 사람의 발처럼 발바닥과 발가락 부분이 구분돼 있다. 지면이 발에 가하는 힘과 발에 있는 모터의 돌림힘을 감지해 지면의 형태를 파악한다. 자유도(DOF勫egrees of Freedom)물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독립된 변수의 수. 3차원 공간에서 ‘자유롭게 ... ...
- 수학자는 동물을 사랑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마리의 새끼 오리를 각각 A, B, 한 마리의 새끼 백조를 C라고 하자. 어떤 기준에 따라 셋을 구분하는 방법은 23개, 총 8가지다. 어떤 기준에 맞으면 1, 아니면 0이라고 이진법을 이용해 표현하면 아래 표처럼 8가지 경우가 나온다. 두 개체가 가진 공통점으로 종을 판단한댔으니, 두 개체씩 묶어보자. ... ...
- AI, 예보에 도전장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유실, 침수돼요. 저희는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재해 위험등급 지역을 구분해 AI에 학습시킬 예정이에요. 예보관들이 AI가 제공하는 맞춤 정보를 지방자치단체, 경찰청, 소방청에 제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국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돕는 게 목표죠. 현재 개발하는 AI들은 올해 ... ...
- [포토뉴스] 불가사리는 사실 팔이 없다 머리만 있을 뿐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불가사리가 속한 극피동물 일부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좌우대칭을 이루고 머리와 몸이 구분되는 척추동물과는 전혀 다른 몸 구조다. 그렇다면 불가사리의 머리는 어디일까. 유전자 분석을 통해 불가사리는 사실 대부분 머리로만 이뤄져 있다는 연구 결과가 2023년 11월 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 ...
- 멋진 증명을 가리키는 말, 신의 증명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증명이 나오기도 해요. 그 대표적인 예가 평면 지도에 있는 모든 나라는 5가지 색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5색 정리’예요. 즉 이웃한 나라는 다른 색으로 칠해야 하죠. 이 문제는 1890년에 증명이 됐어요. 이후 다른 증명도 몇 가지 더 발견됐는데 신의 증명이라고 사람들이 인정하진 않았어요. 첫 ... ...
- [사고력 두뇌 퍼즐] 클래식 스도쿠 /심플루프/신호등 암호/전개도 찾기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힘을 튼튼하게 길러 보세요! [클래식 스도쿠] 굵은 선으로 구분한 공간에 1부터 6까지의 숫자를 적어요.굵은 선 안쪽 공간과 가로줄, 세로줄에 같은 숫자가 겹치면 안 돼요. [심플루프] 흰색 칸이 모두 이어지도록 검은색 칸을 피해서 선을 그어요.선은 반드시 흰색 칸 ... ...
- [과학뉴스] 인공지능이 만든 얼굴 진짜보다 더 진짜 같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이제 AI로 만든 얼굴은 진짜 인간의 얼굴과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비슷해졌다. 2023년 11월 13일, 에이미 다웰 호주 국립대 의대 심리학과 교수팀은 국제학술지 ‘심리과학’에 AI로 만들어진 얼굴이 진짜 얼굴보다 더 현실적으로 인식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doi: 10.1177/095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