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활용되는 AI 기술을 인식, 판단, 동작, HRI(인간-로봇 상호작용Human-Robot Interacion) 네 분야로 구분한다. 우선 로봇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인식하는 분야인 ‘인식’이다. 이어 이렇게 인식한 정보를 해석해 주변 상황을 파악하고, 상황에 맞는 행동을 계획하는 ‘판단’ ... ...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레이저를 비추면 홈에 따라 레이저가 반사되거나 산란되며, 반사된 빛의 양으로 0과 1을 구분할 수 있다.CD는 20세기 후반 널리 쓰인 저장 매체로 수많은 프로그램, 음악, 영화가 CD로 출시됐다. CD의 뒤를 이어 DVD, Blu-Ray 등 발전된 광학 매체가 등장했다. < 자기장 > 정보 밀도: 3.10×109bits/mm3 컴퓨터 ... ...
- 형태만큼 다양한 쓸모 , 로봇 트렌드 톺아보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상호작용 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공장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던 기존 산업 로봇은 인간과 구분된 공간에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는 반면, 협동로봇은 인간과 같은 공간에서 함께 일한다는 차이도 있다. ‘로봇 바리스타가 커피를 내려주는 카페’나 ‘치킨을 튀겨주는 로봇’ 등 최근 들어 생활 ... ...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의 약자입니다. 한국 국민들에게 발급되는 주민등록번호처럼, 논문, 특허, 데이터 등을 구분할 수 있게 발급되는 디지털 식별번호죠. 즉, 논문이 아닌 실물이나 디지털로 존재하는 모든 콘텐츠에 DOI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학술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DOI DOI는 1996년, 미국출판협회가 디지털 ... ...
- [포토뉴스] 불가사리는 사실 팔이 없다 머리만 있을 뿐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불가사리가 속한 극피동물 일부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좌우대칭을 이루고 머리와 몸이 구분되는 척추동물과는 전혀 다른 몸 구조다. 그렇다면 불가사리의 머리는 어디일까. 유전자 분석을 통해 불가사리는 사실 대부분 머리로만 이뤄져 있다는 연구 결과가 2023년 11월 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 ...
- 수학자는 동물을 사랑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마리의 새끼 오리를 각각 A, B, 한 마리의 새끼 백조를 C라고 하자. 어떤 기준에 따라 셋을 구분하는 방법은 23개, 총 8가지다. 어떤 기준에 맞으면 1, 아니면 0이라고 이진법을 이용해 표현하면 아래 표처럼 8가지 경우가 나온다. 두 개체가 가진 공통점으로 종을 판단한댔으니, 두 개체씩 묶어보자. ... ...
- [과학뉴스] 인공지능이 만든 얼굴 진짜보다 더 진짜 같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이제 AI로 만든 얼굴은 진짜 인간의 얼굴과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비슷해졌다. 2023년 11월 13일, 에이미 다웰 호주 국립대 의대 심리학과 교수팀은 국제학술지 ‘심리과학’에 AI로 만들어진 얼굴이 진짜 얼굴보다 더 현실적으로 인식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doi: 10.1177/095 ... ...
- AI, 예보에 도전장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유실, 침수돼요. 저희는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재해 위험등급 지역을 구분해 AI에 학습시킬 예정이에요. 예보관들이 AI가 제공하는 맞춤 정보를 지방자치단체, 경찰청, 소방청에 제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국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돕는 게 목표죠. 현재 개발하는 AI들은 올해 ... ...
- 멋진 증명을 가리키는 말, 신의 증명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증명이 나오기도 해요. 그 대표적인 예가 평면 지도에 있는 모든 나라는 5가지 색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5색 정리’예요. 즉 이웃한 나라는 다른 색으로 칠해야 하죠. 이 문제는 1890년에 증명이 됐어요. 이후 다른 증명도 몇 가지 더 발견됐는데 신의 증명이라고 사람들이 인정하진 않았어요. 첫 ... ...
- [헷갈린 과학] 하나는 양서류? 하나는 파충류? 도룡뇽 vs 도마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필요해 환경 오염에 특히 취약한 동물로 꼽힌답니다. 도롱뇽과 도마뱀을 한눈에 구분하려면 피부와 주둥이, 발가락 개수를 유심히 보세요. 도롱뇽은 주둥이가 둥글고, 피부는 축축하고 매끈해요. 또 도롱뇽의 발가락 개수는 다리에 따라 달라요. 앞쪽 두 다리의 발가락은 4개, 뒤쪽 두 다리의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