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미디어에서 광고 식별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미디어만큼 광고를 많이 접할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공익광고부터 기업이나 제품,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까지, 미디어에는 다양한 광고가 가득 차 있어 ... 후기를 찾아보는 것도 필요해요. 혹시 단순히 광고 속 모습이 멋져 보여서 사고 싶은 것은 아닌지도 구분해야 하죠 ... ...
- [지구사랑탐사대] 도시숲에는 어떤 생물이 살아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사초과이고, 작은 꽃이 동그랗게 모여서 하나의 꽃을 만들면 국화과”라며 여러 식물을 구분하는 방법도 알려주었습니다. 도시에서 발견한 멸종위기종?! 9월 23일, 시민 60명이 세종시 산자락에서 다시 한번 만났습니다. 이번에는 어떤 생물을 찾을 수 있을지 모두 기대하는 모습이었죠. 9월 ... ...
- [똥손 수학체험실] 알록달록 시리얼 은행의 그래프 금고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1호
- 않다’예요. ‘빨간색 시리얼 3개’라는 자료 하나만 주어진다면, 시리얼의 색깔을 구분할 필요도, 개수가 다른 종류보다 많은지 적은지를 확인할 필요도 없지요 ... ...
- [출동!슈퍼M] 치킨 먹고 남은 뼈는 음식물 쓰레기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0호
- 쓰레기를 최대한 적게 버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지요.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 쓰레기와 구분해서 버려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어요.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해서, 버려지는 것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지요. 재활용한 음식물 쓰레기는 돼지나 닭 등 동물의 사료, 식물을 키울 때 땅에 뿌리는 비료 ... ...
- [2023 이그노벨상] 공중보건상 - 스마트변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변기를 사용해도 문제없습니다. 센서가 항문 주름 약 35~37개의 패턴을 인식해 사용자를 구분할 수도 있거든요. 전 스마트 변기로 사람들이 건강할 때부터 데이터를 꾸준히 관찰해, 아프지 않도록 하는 게 목표예요. AI 학습 데이터를 어떻게 얻었나요?매일 똥 사진을 한 장씩 제게 보내 달라고 하면 ... ...
- [질문하면 답해ZOOM] 피아노는 어떤 과정을 거쳐 소리가 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현악기, 트럼펫처럼 기다란 관을 불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등으로 구분되지요. 피아노처럼 줄을 두드리는 동시에 줄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악기는 뭐라고 할까요? 피아노는 타악기와 현악기의 형태를 모두 가지고 있다는 의미로, 현을 쳐서 음을 내는 악기라는 뜻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다가오는 태풍, 뱃머리는 어디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우리나라는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이 초속 17m 이상인 열대저기압을 ‘태풍’으로 구분합니다. 태풍은 에너지가 많은 적도에서 적은 고위도로 에너지를 운반하며 에너지를 분산해 줘요. 태풍은 해수면 온도가 26℃ 이상인 저위도의 따뜻한 바다에서 시작돼요. 막대한 양의 바다 수증기가 상승기류를 ... ...
- 우리나라 ‘빨간불’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극지 바다로 나르는 난류, 그리고 극지 바다의 차가운 물을 저위도로 나르는 한류로 구분할 수 있어요. 우리나라 동해 쪽에는 북쪽에서 내려오는 북한한류와 남쪽에서 올라오는 대마난류가 있습니다. 대마난류 중에서도 우리나라 동해안을 따라 갈라지며 북상하는 해류를 동한난류라고 해요. ... ...
- [특집] 웜홀, 상대성 이론이 남긴 숙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봤어요. 그 결과, 특이점을 넘어 끝에 도달하면 시공간이 완전히 왜곡되어 시간과 공간의 구분이 불가능할 거라고 예측했어요. 이어 블랙홀의 끝에 도달하면 다른 우주 시공간으로 통하는 경로가 존재할 것이라 주장했지요. 이를 함께 연구한 미국의 물리학자 네이선 로젠의 이름과 자신의 이름을 따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깃대종/삼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깃대종이 사라진다고 해서 생태계가 파괴되지는 않습니다. 이 점에서 ‘핵심종’과는 구분되죠. 핵심종은 먹이사슬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종입니다. 예를 들어, 핵심종인 수달은 주로 큰 물고기를 잡아먹는 하천의 최상위 포식자입니다. 수달이 사라지면, 큰 물고기의 개체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