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마
가마솥
오븐
큰남비
탕관
d라이브러리
"
솥
"(으)로 총 71건 검색되었습니다.
쿨하게 열나게 온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온도를 감지한다. 물이 남아있을 때는 밥
솥
안의 온도가 100℃지만, 끓는 물이 없어지면
솥
안의 수증기 온도가 100℃를 넘어 온도만 재도 밥이 다 됐는지 알 수 있다. 김치냉장고는 3~4℃정도 오르내리는 기존냉장고와 달리 온도 변화를 1℃ 이내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문을 위로 열게 만들어 ... ...
태권V 가볍고 튼튼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사실을 알 수 있다. ‘무쇠’는 철에 탄소를 2% 이상 섞어 만든 합금이다. 주로
솥
이나 화로를 만들 때 사용하는 재료인데 고온으로 녹이기 쉬워 주조에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전투용 거대로봇을 무쇠로 만드는 일이 적절한 선택일까?애니메이션 속의 태권V가 마징가Z처럼 무쇠로 만들어졌다면 ... ...
내 손으로 밝히는 태양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찌그러져 시간이 부정확해지는 단점이 있었어요. 세종대의 과학자들은 바로 오목한
솥
모양의 해시계를 만들어 이런 점을 극복했어요. 바닥이 둥글면 그림자가 길게 늘어지지 않으니까요. 게다가 하루의 시간뿐만 아니라 그림자의 길이로 24절기도 정확히 알 수 있었지요. 그림자 하나로 시간과 ... ...
63빌딩을 벽돌처럼 사용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깔고 알루미늄과 규소를 알칼리 유기물과 섞어 붓는다. 그 뒤 유리판을 밀폐된
솥
에 담아 오븐에서 180℃로 2~3시간 동안 가열하면 녹아내린 폴리우레탄 자리에 제올라이트가 합성되는 방법이다.그동안 과학자들은 제올라이트를 만든 뒤 유리판에 가지런하게 배열하려고 노력했지만 실패를 거듭했다. ... ...
갓 지은 쌀밥보다 맛난 것은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이와 같은 과학의 원리가 숨어 있답니다.아직 가마
솥
밥맛을 경험하지 못했다면 가마
솥
으로 지은 밥을 주는 식당에 온가족이 가서 밥맛 의 진수를 느껴 보는 것은 어떨까요 ... ...
산꼭대기 큰 웅덩이 가마
솥
바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속리산에 오르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곳 중 하나가 해발 1054m의 문장대다. 문장대에 걸쳐진 철계단을 따라 정상에 올라서면 약 30명 가 ... 화강암 산지에 발달한 가마
솥
바위들은 모두 이런 과정을 통해 형성됐다. 지금도 가마
솥
바위는 풍화와 침식 작용으로 더 깊이, 더 넓어지고 있다 ... ...
3M 사이언스캠프 - 지성·열정·마법의 잔치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더위를 즐거운 실험으로 날려 보냈어요.” 가마
솥
더위가 기승을 부리던 지난 8월 7일 경기도 이천에는 전국 각지에서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3M 사이언스캠프’에 참가하기 위한 것.총 2백92명의 지원자중 치열한 경쟁을 뚫고 선발된 중학교 1, 2학년생 80명과 이들을 지도해줄 16명의 과학교사로 ... ...
전자제품 연쇄 폭발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읽지 않는 것이 문제”라고 말한다. 실제 올상반기 발생한 휴대전화 폭발이나 압력밥
솥
사고의 상당수는 제품 결함 때문이 아닌 소비자의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소비자보호원의 시험결과 드러났다.최근 발생한 액체 모기향 폭발 사고 역시 사용자의 그릇된 사용법이 사고 원인일 수 ... ...
무쇠
솥
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힘을 잃어가는 겨레 과학에 전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산천에 버려진 녹슨
솥
하나에도 과학의 힘이 숨쉬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 ...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왜 물인가? 남극빙산·심해열수구·수km지하 생명체 공통점 남극의 차가운 빙산에서, 압력
솥
처럼 압력이 높고 물이 팔팔 끓어오를 정도로 온도가 높은 태평양 심해의 열수구에서, 그리고 빛이 뚫고 들어갈 수 없는 지표면 아래 2.8km의 땅속에서도 생명체가 숨쉬고 있다.이는 1990년대 과학자들이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